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운데), 박찬대 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오른쪽), 김민석 최고위원이 2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파이팅을 외치며 기념 촬영하고 있다. 2025.4.28/뉴스1 ⓒ News1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 후보가 28일 SK하이닉스를 찾아 인공지능(AI)과 반도체 육성 등을 강조했다. 당 대선 후보로 선출된 뒤 첫 공약으로 반도체 특별법 제정 등을 내놓은데 이어 반도체 현장 행보에 나선 것이다.
이 후보는 이날 경기 이천시에 있는 SK하이닉스 이천 캠프를 찾아 “최근 무역상황을 보면 일방적인 미국의 관세 인상과 보호무역주의가 수출 중심의 대한민국 경제 위기를 초래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국가 경제라고 하는 것이 결국 기업 활동에 의해 유지될 수 밖에 없는데, 정치도 총력을 다해야 할 때”라며 “미래 첨단산업 육성이 중요한 과제인데 반도체 산업이 타격없이 앞으로도 세계를 주도할 수 있도록 의견을 듣고 싶다”고 했다.
이 후보는 곽노정 SK하이닉스 최고경영자(CEO) 등과의 간담회 직후 기자들과 만나 “민생을 개선하려면 결국 경제가 활성화돼야 하는데 경제 활성화 주체는 기업인임이 분명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첨단 기술산업 (육성이) 차기 정부의 주요 과제가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했다.
다만 이날 반도체 분야에 대한 주 52시간제 예외 적용 등 사안은 논의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후보는 “논쟁적 이슈들보다는 기반 시설 확보나 세제 지원이나 실질적으로 우리 관련 업계에서 당장 필요한 것들을 먼저 해결할 필요가 크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 후보는 이날 오전 반도체 특별법을 제정해 국내에서 생산해 판매되는 반도체에 최대 10% 생산세액공제를 적용하는 등의 반도체 산업 육성을 위한 공약을 발표했다.
그는 “국내에서 생산해 판매되는 반도체에는 최대 10% 생산세액공제를 적용하고 반도체 기업의 국내 유턴을 지원해 공급망 생태계도 강화하겠다”며 반도체 RE100 인프라 구축과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도 서두르겠다고 약속했다.
이와 관련해 이 후보는 간담회 직후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장기 전력 공급도 불확실하고, 용수 공급도 문제가 있어서 논쟁거리가 많다“며 ”그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지 논의했고, 앞으로 주요 의제로 놓고 계속 검토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간담회에 참석한 곽노정 SK하이닉스 최고경영자(CEO)는 “반도체 산업의 성패가 국가 생존을 결정한다”며 “(반도체가) 전 산업의 기본 인프라로 자리잡고 있고 경제 안보 패러다임과도 직결되는 만큼 반도체 산업 경쟁력 재고를 위해 힘 써준 국회 등에 감사하다”고 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