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코인=1달러’ 고정해 안정성 높여
가상자산 기대감에 리플 17% 급등
‘1코인=1달러’와 같이 가치를 법정화폐에 고정해 안정성을 높인 스테이블코인이 제도권 금융으로 사실상 편입됐다. 미국 하원은 17일(현지 시간) 본회의를 열고 스테이블코인의 발행과 운영 방식 등을 규정한 ‘지니어스 법안(GENIUS Act)’을 찬성 308표 대 반대 122표로 가결 처리했다. 앞서 지난달 상원을 통과한 법안은 18일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서명을 거쳐 발효될 것으로 보인다.
지니어스 법안은 스테이블코인 시장 운영의 틀을 마련했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테더나 서클 같은 미국 회사들이 이미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고 있지만 이를 규율할 법규가 없는 상황이었다. 통과된 법안에 따르면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려는 회사는 정부의 엄격한 기준에 따라 인가를 받아야 한다. 발행 주체를 은행권으로만 한정하지 않는 대신 스테이블코인 보유자가 이를 현금으로 언제든지 바꿀 수 있게 준비금을 적립하도록 했다. 무엇보다 준비금을 100% 달러와 미국 국채로 보유하도록 규정하고 있어 디지털 자산 시장에서 ‘달러 패권’의 기반을 다진 것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스테이블 코인의 제도권 편입으로 가상자산 시장이 더욱 확대될 것이란 기대가 커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르면 이번 주 미국 퇴직연금 ‘401k’ 계좌에서 가상자산을 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행정명령에도 서명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한때 가상자산 시가총액 3위 XRP(리플)는 24시간 전 대비 17% 넘게 뛰며 역대 최고가를 경신했고, 비트코인과 이더리움도 강세를 보였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이번 입법은 조 바이든 행정부 시절 규제 위험에 직면했던 가상자산 업계가 지난해 대통령 선거에 막대한 자금을 투입하며 지지를 얻어낸 결실”이라고 평가했다.
한재희 기자 hee@donga.com
뉴욕=임우선 특파원 imsun@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