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 수련환경 개선 등 3가지 복귀조건 제시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7월 21일 03시 00분


코멘트

1년 4개월만에 새 협상안 제시
정부와의 대화 급물살 가능성

지난해 2월 의정 갈등 속에 수련병원을 떠났던 전공의(인턴, 레지던트)가 복귀 조건으로 수련 환경 개선과 수련 연속성 보장 등이 포함된 새 대정부 요구안을 제시했다.

전공의 단체가 지난해 3월 필수의료 정책패키지 백지화 등 ‘7대 요구안’에서 벗어나 1년 4개월 만에 세 가지로 압축한 협상안을 제시하면서 향후 정부와의 대화가 급물살을 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20일 의료계에 따르면 전공의 단체인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는 전날 서울 대한의사협회 회관에서 임시대의원총회를 열고 대정부 요구안을 의결했다. 새 요구안은 △윤석열 정부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 재검토를 위한 현장 전문가 중심의 협의체 구성 △전공의 수련 환경 개선 및 수련 연속성 보장 △의료 사고에 대한 법적 부담 완화를 위한 논의 기구 설치 등 세 가지다.

전공의들은 지난해 윤석열 정부의 의대 2000명 증원 방침에 반발해 수련병원을 사직한 후 ‘단일대오’를 유지하며 정부와의 대화를 거부해 왔다. 그러나 의정 갈등이 길어지면서 군 미필 전공의가 순차적으로 입대하고, 전문의 취득이 늦어지면서 “새 정부가 들어선 만큼 대화에 나서야 한다”는 의견이 전공의 사이에서 힘을 받았다. 이재명 정부가 출범하고 대전협 집행부가 교체되면서 복귀 논의가 재개됐다.

다만 이번 대정부 요구안에는 하반기 모집에 전공의가 복귀할 것인지, 복귀를 위해 정부에 어떤 조치를 요구할지 등 구체적인 방안은 담지 않았다. 전공의 사이에선 복귀 전제 조건으로 군 전역 후 기존 수련병원 복귀 보장, 전문의 시험 추가 시행 등을 요구하자는 목소리가 강하다.

일각에서는 이미 상급종합병원이 전문의 중심으로 구조가 바뀌고 있어 전공의가 향후 복귀하더라도 수련병원에서의 역할이 애매해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한 지방 대학병원장은 “지난해부터 전문의 중심병원으로 구조 개선을 하면서 전공의가 하던 업무 상당수를 진료지원(PA) 간호사가 하고 있다”며 “수련을 어떤 방식으로 개선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했다.

#의정 갈등#전공의#대정부 요구안#필수의료 정책#수련 환경 개선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