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경 ‘할인쿠폰’에 기대는 극장들… “구조개혁 없인 단기효과뿐”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7월 14일 03시 00분


코멘트

[수렁에 빠진 극장]
이달 25일부터 10월31일까지
영화관 입장료 회당 6000원 할인
“영화관 활용 패러다임 전환 등 필요”

“7말, 8초만 기다리고 있어요.”

최근 영화계 관계자들은 이달 말부터 다음 달 초까지를 올해 ‘극장가 부활’ 여부가 걸린 가장 중요한 시점으로 보고 있다. 이재명 정부가 이달 중으로 영화 할인 쿠폰을 발급하기로 하면서, 하반기 영화관 관람객 회복에 계기가 마련되길 바라는 기대감이 반영된 것이다. 하지만 구조적인 변화 없는 한시적 처방만으론 그 효과가 오래가지 않을 것이란 의견이 팽배하다.

영화진흥위원회에 따르면 전국 영화관에서는 이달 25일(예정)부터 10월 31일까지 입장료 할인 지원 사업이 시행될 방침이다. 앞서 기획재정부는 새 정부 추가경정예산(추경)안에 270억 원을 반영해 영화관 할인 쿠폰 450만 장을 공급하기로 했다.

해당 정책의 핵심은 쿠폰을 이용해 영화관 입장료를 회당 6000원 할인하는 것. 극장 티켓값에 부담을 느끼는 관객들이 많아지자 정부가 관람 장벽을 낮추기 위해 시행한 조치로 풀이된다. 주말 기준 2014년 1인당 1만 원이었던 티켓값은 2022년 1만5000원까지 올라갔다.

‘일회성 정책’임에도 영화계는 반기는 분위기다. 한 독립·예술영화관 관계자는 “목이 말라 죽으려고 하니 겨우 물 한 모금 떠먹여 주는 것과 같다”면서도 “우선 살아야 다음을 도모하니 지금으로선 절실한 정책”이라고 했다. 황재현 CGV 전략지원담당도 “일회성으로 보일 순 있지만, 이번 추경은 소비심리가 위축된 상황에서 영화 관람을 다시 활성화시킬 중요한 마중물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본질적인 체질 개선 없이는 ‘일시적 반등’에 그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문화예술계에선 장기적으로 관객 수를 회복하기 위해선 구조적 개편이 불가피하다는 목소리가 크다. 그중 하나로 언급되는 것이 영화관 공간 활용에 대한 패러다임 전환이다. 이대영 중앙대 예술대학원장은 “영화관이라는 하드웨어가 갖고 있는 잠재력은 크다”며 “영화인과 게임 개발자, 스토리텔러 등이 모여 다양한 융·복합 매체를 새롭게 만들어야 할 때”라고 주장했다.

또 근본적으로 상영하는 작품들의 질 자체를 높여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현재 ‘극장 살리기’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는 옛 영화의 재개봉이나 콘서트 실황 및 스포츠 중계 등은 일시적인 미봉책에 불과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정한석 부산국제영화제 집행위원장은 “결국 본질은 영화에 있다”며 “대작 중심주의에서 벗어나 중저예산의 활기찬 영화들을 기획·제작하는 등 중장기적인 변화를 이끌어야 영화계도 산업의 지속성을 유지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영화관#영화 산업#영화 관람객#추가경정예산#극장가 부활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