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자(孔子)의 역사서 ‘춘추(春秋)’를 조선시대 학자들이 정리한 해설서 ‘춘추좌씨전 규장각본’ 완역본(사진)이 처음 출간됐다. 동양학 및 한국학 인재 양성 기관인 유도회(儒道會) 소속 학자들인 윤종배, 김경태, 박찬규 3인이 23년에 걸친 작업 끝에 결실을 맺었다.
춘추(春秋)는 공자가 춘추전국시대였던 기원전 722년에서 기원전 481년까지 고향인 노(魯)나라를 중심으로 242년 동안 벌어진 사건을 편년체 형식으로 기록한 역사서다. 뜻을 헤아리기 어려워 여러 해설서가 존재하는데, 공자의 제자인 좌구명(左丘明)이 해설을 붙인 게 ‘춘추좌씨전’이다.
춘추좌씨전 규장각본은 정조 21년(1797년) 당시 규장각에서 편찬됐다. 조선 학자들의 시각에서 다시 정리된 해설서란 점에서 역사적, 학문적 가치가 크다. 춘추좌씨전 규장각본은 두예의 ‘춘추좌씨경전집해(春秋左氏經傳集解)’를 주요 해설로 참고했으며, 완역본은 총 3권으로 구성됐다. 저자들은 “조선 학자들의 생각이 담긴 규장각본을 제대로 이해하고 공부하길 바라는 마음으로 번역했다”고 밝혔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