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녹화기록물’ ‘제주4·3기록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4월 11일 10시 27분


코멘트
‘산림녹화기록물’과 ‘제주4·3기록물’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이 됐다. 이로써 우리나라가 보유한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은 총 20건으로 늘었다.

‘산림녹화기록물’ 중 1973~1977년 영일만 복구사진. 국가유산청 제공
국가유산청은 “10일 오후 11시(현지 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221차 유네스코 집행이사회에서 ‘산림녹화기록물’과 ‘제주4·3기록물’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최종 등재됐다”고 11일 밝혔다. 1992년 설립된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은 세계적 영향력이 있는 인류의 중요한 기록을 대상으로 선정된다. 책, 사진, 지도, 악보, 음성기록물 등을 포함한다.

산림녹화기록물은 6·25 전쟁 이후 황폐화된 국토에 정부와 민간의 협력으로 산림을 녹화(綠化·산이나 들에 나무나 화초를 심어 푸르게 함)한 경험이 담긴 자료다. 녹화 사업과 관련된 관보, 법령, 공문서, 책자, 사진 등으로 이뤄졌다. ‘대규모 사방사업(砂防事業)’, ‘화전정리사업’, ‘산림계의 자발적 연료림(땔감에 쓰일 목재 생산을 목적으로 하는 산림) 조성’ 등에 관한 기록물은 다른 국가에서 찾아보기 힘든 사례로 평가됐다.

‘산림녹화기록물’ 중 1973~1977년 영일만 복구사진. 국가유산청 제공
국가유산청은 “우리나라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산림녹화에 성공하고 개발도상국에서 선진국의 반열에 오른 유일한 국가로 꼽힌다”며 “산림녹화기록물은 개발도상국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교육·훈련, 산림 ODA(국제개발협력) 사업 등에서 참고할 수 있는 본보기”라고 말했다. 기후변화, 사막화 등 환경 문제에 활용 가능하다는 점도 등재 결정에 고려됐다.

‘제주4·3기록물’ 중 형무소에서 보내 온 엽서
‘제주4·3기록물’은 1947년부터 1954년까지 제주도에서 벌어진 민간인 학살과 관련된 기록물이다. 당시 희생자와 유족의 피해신고서 및 구술증언, 민간과 정부 기관의 진상 규명 과정 등을 아우른다. 정부, 미군, 봉기 세력 등 이해당사자들이 각자 생산한 기록물도 포함됐다.

특히 세계적 냉전이 전 지구적으로 확산하고, 지역별로도 압축되는 양상을 집약적으로 보여주는 희귀한 자료라는 점에서 가치를 인정받았다. 국가유산청은 “세계사적으로 인권의 중요성을 알려주고, 제주도민들의 화해와 상생 정신을 통해 아픈 과거사를 해결하는 새로운 길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제주4·3기록물’ 중 제주도의회 4·3피해신고서
이번 등재로 우리나라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20건을 보유한 국가가 됐다. 앞서 훈민정음(1997), 조선왕조의궤(2007), 고려대장경판 및 제경판(2007), 새마을운동기록물(2013), 국채보상운동기록물(2017) 등이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됐다.

#산림녹화기록물#제주4·3기록물#유네스코#세계기록유산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