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화된 목재와 균열 등 문제로 대대적인 수리 작업을 거친 종묘 정전이 5년 만에 새 모습으로 일반에 공개된다.
국가유산청은 오는 20일 대규모 수리를 마친 종묘 정전을 공개하고, 창덕궁에 임시로 모셨던 조선 왕과 왕비의 신주를 본래의 자리로 다시 모시는 ‘종묘 정전 환안제 및 준공기념식’을 연다고 16일 밝혔다.
종묘 정전은 1395년 태조 이성계가 창건한 이래 600년 넘도록 왕실 제례가 이어져 온 곳이다. 한국 전통 건축의 정수로 1985년 국보로 지정됐다. 그러나 구조적 균열, 기와 탈락, 목재의 노후화 문제가 지속해서 확인되면서 국가유산청은 2020년부터 2025년까지 5년에 걸쳐 대규모 수리를 진행했다.
이번 환안제를 위해 특별히 제작된 신연(왕의 신주를 운반하는 가마로, 궁 밖에서 이동 시 사용)(국가유산청 제공)국가유산청에 따르면 이번 수리는 1991년 이후 약 30년 만에 이뤄진 대대적인 공사로, 정전 앞 시멘트 모르타르를 제거하고 수제 전돌을 깔았다. 또 공장제 기와를 모두 걷어낸 뒤 수제 기와로 교체하는 등 전통 건축 기법과 재료를 토대로 하되, 현대 과학 기술을 접목했다.
종묘 정전 수리가 마무리되면서, 창덕궁 구 선원전에 2021년부터 임시 봉안됐던 신주를 다시 제자리로 모셔 오는 환안제가 20일 오후 2시 열린다.
고유제(중대한 일을 치르고자 할 때나 치른 뒤에 그 까닭을 사당이나 신명에게 고하는 제사) 모습.(국가유산청 제공) 155년 만에 이뤄지는 이번 환안제는 창덕궁 금호문 앞에서 시작해 광화문과 세종대로, 종로를 거쳐 종묘까지 약 3.5km 구간을 행진한다. 사전 모집한 200명의 시민 행렬단을 포함, 총 1100명이 행렬에 참여한다.
국가유산청은 “헌종 대 제작된 ‘종묘영녕전증수도감의궤’를 바탕으로 장인들이 특별히 제작한 신여, 신연, 향용정을 포함해 전국에서 확보한 총 28기의 가마가 도심 한복판을 가로지르는 보기 드문 장관이 펼쳐질 것”이라고 전했다.
환안 행렬이 종묘에 도착한 후 오후 6시 30분부터는 종묘 정전에서 고유제와 준공기념식이 진행된다. 고유제는 전주이씨대동종약원 주관 아래 200여 명이 참여해 전통 절차에 따라 열린다. 이어 준공기념식에서는 수리 과정을 담은 영상 상영과 함께 약 60명의 무용수가 함께하는 특별 공연이 펼쳐질 예정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