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 배리어프리 관광지로 부상… 교통·관광시설 전반에 접근성 강화

  • 동아경제
  • 입력 2025년 4월 18일 10시 20분


코멘트

대중교통, 관광 명소, 호텔까지 모두를 위한 배리어프리(Barrier-free) 여행지로 부각
홍콩관광청, 유튜버 위라클과 협업해 교통·관광·미식 콘텐츠 제작
배리어프리 여행 정보를 제공하는 전용 웹사이트 운영

홍콩관광청 제공.
홍콩은 정책적으로 인프라 구축 때부터 배리어프리 철학을 담아 무장애를 실천하고자 노력하는 선진 여행지이다. 도시 전역에 배리어프리(Barrier-free) 환경이 잘 갖춰져 있으며 특히 교통약자를 위한 접근성과 인프라가 잘 마련돼 있어 누구나 불편 없이 여행을 즐길 수 있다.

홍콩관광청은 이러한 배리어프리 환경을 국내외에 알리기 위해 휠체어 여행 유튜버 ‘위라클(Wheelacle)’과 협업해 콘텐츠를 제작했다. 위라클의 홍콩 여행기는 총 3편으로 구성됐는데 이동 제약이 있는 여행자가 직접 체험한 내용을 바탕으로 대중교통 이용, 관광 명소 탐방, 미식 체험 등을 영상으로 담았다.

우선 관광지 접근성이 높은 수준으로 확보됐다. 스타의 거리(Avenue of Stars)에는 평탄한 보도와 휠체어용 경사로가 설치돼 있어 누구나 불편 없이 이동할 수 있다. 서구룡 문화지구 내 M+박물관과 홍콩고궁박물관 등은 넓은 공원과 함께 조성돼 있으며 모든 시설이 휠체어로 접근 가능하다.

야경 명소인 빅토리아 피크(Victoria Peak)도 휠체어 이용자가 접근할 수 있는 버스 노선이 운영된다. 피크 타워 내부에는 엘리베이터, 장애인 전용 화장실, 접근성 높은 식음료 시설 등이 마련돼 있다.

홍콩 디즈니랜드는 휠체어 이용자를 위한 전용 출입구가 대부분의 어트랙션에 설치돼 있으며 청각 장애인을 위한 보조 청취 장치, 수화 통역, 시각 장애인을 위한 점자 안내도, 휠체어 대여 서비스 등 다양한 편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레스토랑과 상점도 휠체어 접근이 용이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 외에도 공항, 호텔, 대중교통 등 주요 기반시설 전반에 휠체어 접근로, 엘리베이터, 장애인 전용 화장실 등이 설치돼 있으며 청각·시각 장애인을 위한 보조 장비도 다수 마련돼 있다. MTR과 버스에는 장애인 승차 지원 시스템이 적용돼 있으며 Diamond Cab, SynCab 등 전용 택시 서비스와 홍콩재활협회의 재활 차량 예약 서비스도 이용할 수 있다.
홍콩관광청 제공.

홍콩관광청은 장애인뿐 아니라 노약자, 임산부 등 다양한 여행자의 편의를 위해 배리어프리 여행 웹사이트도 운영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홍콩장애인청년연맹과 노동복지국(LWB)과 협력해 여행자의 체류 시간, 이동 수단, 관광지 유의사항 등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고 한다.

홍콩은 배리어프리 인프라를 지속적으로 확장하면서 모두가 안전하고 편안하게 여행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해 나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윤지현 홍콩관광청 마케팅 과장은 “홍콩은 다양성과 포용을 중시하는 도시로 누구나 불편 없이 즐길 수 있는 여행지로서의 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면서 “앞으로도 모두에게 열린 관광지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다양한 노력을 이어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