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mes Turrell, After Effect. 2022, LED lights Site specific dimensionsRuntime: 79 minutes. 페이스갤러리 제공 터렐이 말한 내용 중 인상 깊었던 것은 ‘지평선(horizon) 없는 풍경’에 대한 비유였습니다.
안개나 구름 속으로 들어가는 조종사, 눈보라로 온통 흰 풍경 속의 스키 타는 사람처럼 관객이 느끼기를 바란다는 것인데요.
터렐은 이런 공간에서 우리가 평소 당연하게 여겼던 세계관을 벗어나 ‘나’의 감각과 주변 관계에 집중하도록 만듭니다.
“중성 부력 벨트를 찬 잠수부가 물속에서 어떠한 미동도 없이 고요하게 머물고 있는 상황을 상상해 봅시다. 여기서 잠수부는 땅에 서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어디가 위아래인지를 익숙한 감각으로는 알 수 없고, 공기 방울이 올라가는 방향을 보면서 그것을 구분하게 됩니다.
터렐의 말을 챗GPT를 시켜서 그림으로 표현해 보았습니다. 이렇게 ‘지평선을 잃게 되는 경험’은 최근 우리가 자주 보고 있는 현실이기도 합니다. 우주 공간에서 무중력 상태가 확실히 그렇고요. 인터넷 공간에서 생각하는 것도 마찬가지입니다. 인류는 지평선이 없는 풍경 속으로 들어가는 법을 배우고 있죠.”
터렐이 말한 ‘지평선을 잃어버린 세상’은 달리 말하면 “나의 인식에 따라 구조가 결정되는” 세상입니다.
좀 더 풀어서 설명해 볼까요. 지평선이 있는 세상은 하늘과 땅, 위아래가 정해져 있습니다. 이런 이미 결정된 ‘세팅’ 안에서 인간은 하나의 부속품으로 살아가게 됩니다. ‘연역적 사고’로 빗대어 생각해 볼 수도 있겠죠.
그런데 지평선이 없는 세상에서는 ‘내’가 중심이 됩니다. 나를 중심으로 나와 관계 맺는 것들, 내가 느끼는 것들이 세상을 구성하게 됩니다. ‘귀납적 사고’로 구성되는 세상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를테면 영화 ‘매트릭스’에서 주인공 네오가 오라클을 만나거나 정신을 집중해서 무언가를 생겨나게 하는 가능성의 공간인 ‘화이트룸’(The Construct)과 같은 것을 터렐은 현실에서 만들어 보려고 한 것입니다.
뮤지엄산 제임스터렐관에서 볼 수 있는 설치 작품 ‘간츠펠트’(Ganzfeld). 사진 성수영 제공. 이렇게 지평선을 제거한 무한의 공간에 터렐이 집어넣는 것은 바로 ‘빛’입니다.
터렐은 빛이 무언가를 비추는 조명이 아니라 그 자체로 물질이라고 말합니다. 우리가 소리를 녹음해서 레코드나 음원 파일로 다시 듣는 것처럼, 터렐은 빛 그 자체를 조각처럼 빚어서 전하고 싶었다고 합니다.
(당신에게 빛은 물리적 재료인지, 철학적 도구인지 묻는 질문에 답)
“우선 빛은 물리적인 실체입니다. 광자를 질량을 갖고 있죠. 때로는 파동 현상을 보이지만 빛은 물리적 존재(thing)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빛을 덧없고 순간적인 형태로 보는 걸 더 좋아하고 그 자체에 관심을 두지 않았습니다. 독서할 때 책을 비추거나 회화, 조각을 밝히는 등 다른 것을 비추는 데 사용하는 정도였죠.
그렇지만 우리는 빛을 먹기도 합니다. 우리의 피부를 통해 자외선이 들어와서 비타민D를 만드니, 빛을 ‘먹는다’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빛을 제대로 먹지 못하면 뇌의 세로토닌 균형이 깨지고 우울증이 생기죠.
또 소리처럼 빛 역시 우리에게 감정적인 무언가를 전달합니다. TV 출연자들이 스튜디오에 나오기 전에 휴식과 안정을 취하는 방을 ‘그린 룸’이라고 하는 것처럼 말이죠. 빛은 영적인 의미도 갖고 있습니다. (영적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고 여겨지는) ‘루시드 드림(자각몽)’에서도 ‘빛’에 관한 표현이 쓰이죠.
저는 빛을 묘사하기보다 빛 자체를 사용하고 싶었습니다. 그런데 빛은 나무나 돌처럼 구부릴 수도 없고 점토처럼 형태를 만들거나 금속처럼 용접할 수도 없습니다. 실제로 빛을 만들어내는 어떤 도구가 필요합니다. 소리를 만들기 위해 바이올린, 트럼펫, 피아노, 하프, 리라 등 다양한 악기가 있는 것처럼요.
그래서 1960년대에는 ‘투영’ 시리즈를 만들었고, 이제는 LED 기술이나 컴퓨터로 제어하는 다이오드가 있으니 기술이 발전할 때까지 오래 살아 운이 좋았습니다.
이제 빛을 다루는 여러 도구가 만들어지고 있지만 여전히 물리적 존재로 빛을 보여주는 것은 부족합니다.
고속도로에서 자동차 헤드라이트를 보고 멍해져서 꼼짝 못 하는 사슴을 상상해 보세요. 인간 역시 빛에 반응하는 존재입니다. 저는 빛의 힘이 그런 곳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