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가평군에서 15년째 수국 동산을 가꾼 정구선 건교산업 대표. 가평=김선미 기자 kimsunmi@donga.com
마음이 쓸쓸했던 몇 해 전 초여름 어느 날, 일본 교토 근교 우지(宇治)의 사찰 정원에서 흐드러지게 핀 수국밭을 만났다. 작은 꽃송이가 중심에 알알이 맺히고 헛꽃이 레이스처럼 두른 산수국이었다. 단아한 형상인데도 깊은 남보라빛이라 어쩐지 마음을 어루만져주는 힘이 있었다. 그날 이후 힘든 일이 있을 때마다 그때의 산수국과 어느 산문집의 제목을 함께 떠올린다. ‘좋은 일이 아주 없는 건 아니잖아.’
최근 경기 가평군의 주택정원에서 교토에서만큼이나 위로를 건네는 남보라빛 산수국을 만났다. 사업가 정구선 씨(㈜건교산업 대표)가 17년 전 집을 짓고 정성으로 일군 정원에서였다. 수국이 가득 피어난 언덕에서 그가 말했다. “이 남보라빛 수국을 보고 있으면 밥을 안 먹어도 배부르고 행복해요. 미리 가보는 천국 같아요.”
남보라빛 수국이 흐드러진 언덕. 가평=김선미 기자 kimsunmi@donga.com 그를 처음 만난 건 사단법인 한국정원사협회 모임에서였다. 그야말로 정원에 ‘진심’인 회원들이 정원들을 답사하는 자리였다. 정 씨는 웃으면서 “우리 집은 특히 수국 필 때가 예쁘니까 그때 오세요”라고 했다. 그때까지만 해도 그의 수국 정원이 이렇게 대단한지 미처 몰랐다.
그의 정원은 단지 아름답기만 한 곳이 아니었다. 꽃과 나무에 바쳐진 인생의 풍경이자 한 사람의 꿈이 현실로 피어난 공간이었다. “어릴 적 소원이 마당 있는 집에서 사는 거였거든요.”
충북 충주에서 태어나 초등학교 교사였던 아버지를 따라 사택을 옮겨 다니며 살았던 그는 늘 마당 있는 집을 꿈꿨다. 서른두 살이 되던 해, 처음 번 돈으로 강원 화천의 계곡 옆 2000평 땅을 사서는 사과나무 100주, 배나무 100주 등 과실수를 셀 수 없이 심었다.
서울 반포에서 주말마다 두 딸을 데리고 화천으로 향했지만 꿈은 그저 꿈인 것 같았다. “약을 치지 않고는 뭐 하나 제대로 자라지 않더라고요.” 하지만 그 땅은 그냥 버려지지 않았다. 그의 아버지가 정년퇴직한 뒤 30년 가까이 가꿨다. “지금도 화천 집은 그대로 있어요. 엉망진창이지만….” 그 말이 지난 시간을 온전히 다 품은 듯했다.
정구선 씨가 정성과 사랑으로 가꾸는 주택정원. 돌틈 사이에 바위취와 여러 꽃들이 조화를 이루며 피어있다. 가평=김선미 기자 kimsunmi@donga.com 가평으로 온 것은 2008년. 2300평 대지에 150평 집을 짓고 가꾼 정원에는 저마다 매력을 뽐내는 나무 100여 그루가 들어서 있다. 황철쭉, 황목련, 수양벚꽃, 팥꽃나무, 풍년화, 미산딸나무, 마가목, 낙상홍…. 나무들 사이로 피어난 플록스와 접시꽃, 에키네시아와 블루베리가 바로 지금의 계절감을 드러낸다. 이제껏 먹은 블루베리 양보다 더 많은 블루베리를 이날 정원에서 따먹은 것 같다. 정 씨는 말했다. “아무리 스트레스가 쌓여도 꽃을 만지고 있으면 금세 날아가요. 꽃은 그 자체로 응답해 주는 존재니까요.”
그는 어머니가 세상을 뜬 후 극심한 마음의 고통을 겪었다. “남들은 뭘 그렇게까지 힘들어하냐고 했지만 그때 저는 숨 쉴 수조차 없었어요.” 일찍 남편을 여의고 두 딸을 키워낸 사업가 엄마는 강했지만 약하기도 했다.
정 씨가 정원에서 키우는 블루베리, 오이, 상추, 토마토 등으로 만든 샐러드. 가평=김선미 기자 kimsunmi@donga.com 2008년 조경기능사 자격증을 딴 것이 그의 삶에 한 줄기 빛이 되었다. 나무를 심고 가지치기 등 관리하는 방법을 배울 곳이 마땅하지 않은 게 안타까워 지인들과 ‘파라가든’이라는 정원 공부 모임을 만들었다. 천국(파라다이스)과 정원을 합친 말이다. 나중에는 함께 나무를 키워 이익이 생기면 공동 분배하는 실험도 해보고 싶단다.
정원 뒤쪽 오솔길 따라 오르는 언덕이 산수국 꽃길이다. 15년 전 화천에서 세 포기 가져온 산수국을 꺾꽂이해 조성한 수국 동산이다. 그는 꺾꽂이로 주변에 아낌없이 묘목을 나눈다. 그해 나온 나뭇가지가 목질화할 때 한 마디씩 잘라 거름기 없고 배수가 잘되는 땅에 물을 말리지 않고 꽂으면 한두 달 후 뿌리가 내린다고 한다.
푸른 산수국을 가만히 들여다보고 있으면 마음에 별꽃이 피어난다. 가평=김선미 기자 kimsunmi@donga.com 장마철을 환하게 밝혀주는 고맙고 사랑스러운 꽃이 수국이다. 수국은 산성 땅에서는 푸른 빛, 알칼리성 땅에서는 붉은빛을 띤다. 색에 따라 꽃말도 다양하다. 분홍은 사랑과 감사, 빨강은 열정과 용기, 파랑은 신뢰와 사과, 보라는 꿈과 희망…. 정 씨의 수국 정원에서 나는 꿈과 희망을 보았다. 그리고 알게 되었다. 수국은 슬픔을 닮은 이에게 말없이 웃어주는 꽃이라는 것을, 슬픔도 나누면 언젠가는 기쁨이 되어 피어난다는 것을….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