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데헌, 늙지 않는 아이돌이라는 K팝의 오랜 꿈”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7월 21일 11시 15분


코멘트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포스터. 넷플릭스 제공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포스터. 넷플릭스 제공

“가상 아이돌 밴드가 인간 아이돌이 한 번도 오르지 못한 정점에 올랐다.”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0일(현지 시간) ‘K팝에서 가장 큰 이름은 BTS가 아니다. 넷플릭스다’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넷플릭스 애니메이션 영화 ‘케이팝 데몬 헌터스(케데헌)’의 세계적인 인기에 대해 내린 진단이다. 이 애니메이션의 오리지널사운드트랙(OST) 전곡이 빌보드 차트에 진입하는 등 실제 아이돌보다 인기 있는 현상을 조명한 것이다.

WSJ에 따르면 케데헌 속 보이그룹 ‘사자 보이스’의 멤버 ‘미스터리’의 보컬을 맡은 케빈 우의 최근 스포티파이 월간 청취자 수는 약 2000만 명에 달한다. K팝 보이그룹 유키스 출신인 그는 애니메이션이 인기를 끌기 이전까지만 해도 청취자 수가 1만 명에 그쳤다. 케빈 우는 WSJ에 “가상 캐릭터를 연기하다 보니 비현실적으로 느껴진다”면서 “사람들이 나를 케빈 우나 K팝 아티스트로 알아보진 못한다”고 했다. 하지만 그는 “(미스터리는) 내 예술적 재능을 새롭게 재창조하는 것과 같다”며 가상 캐릭터가 유키스 시절이나 공연 활동보다 더 빛을 발하더라도 상관 없다는 뜻을 전했다.

또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대(UCLA)에서 K팝을 연구하는 김석영 교수는 “케데헌의 성공은 팬들이 인간이 아닌 아이돌과 소통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앞으로 모방작들이 양산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건 K팝 기업들의 오랜 꿈”이라며 “잠도 안 자고, 아프지도 않고, 늙지도 않는 아이돌들이 있다”고 말했다. 다만 K팝 프로듀서 겸 작곡가인 베니 차는 “진짜 아티스트들이 보여주는 연약함과 화학 작용, 예측 불가능성은 결코 만들어낼 수 없는 것”이라며 여전한 인간 아티스트의 역할을 강조했다.

케데헌 속 걸그룹 ‘헌트릭스’(사진)가 부른 ‘골든(Golden)’ 등 오리지널사운드트랙(OST) 전곡이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넷플릭스 제공
케데헌 속 걸그룹 ‘헌트릭스’(사진)가 부른 ‘골든(Golden)’ 등 오리지널사운드트랙(OST) 전곡이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넷플릭스 제공
6월 20일 개봉한 케데헌은 공개 직후 전세계 40개국 이상에서 넷플릭스 1위를 차지했다. OST 앨범은 미국 빌보드의 메인 앨범 차트 ‘빌보드 200’에서 발매 4주차에도 5위를 유지하고 있다. 이 앨범은 발매 첫 주 8위로 진입해 둘째 주 3위, 셋째 주 2위로 자체 최고 순위를 기록했다. 빌보드에 따르면 케데헌 OST는 이번 집계 기간에 전주보다 14% 많은 8만5000장에 해당하는 앨범 유닛(Album Units)을 기록했고, 스트리밍 횟수는 1억953만 회에 달했다. 빌보드는 “이는 2022년 3월 디즈니 애니메이션 ‘엔칸토’ OST가 ‘빌보드 200’에서 7주째 1위에 오르며 1억1467만 회를 기록한 이래 가장 많은 스트리밍 수치”라고 전했다.

케데헌은 국내 대표 음원 플랫폼인 멜론의 ‘톱 100’ 차트에서도 ‘골든(Golden)’으로 1위, ‘소다팝(Soda Pop)’으로 2위를 차지하는 등 흥행을 이어가고 있다.
#가상 아이돌#케이팝 데몬 헌터스#넷플릭스#케빈 우#사자 보이스#스포티파이#K팝 산업#애니메이션 음악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