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년 전통 ‘생전예수재’ 사라지게 할순 없어… 원형 그대로 복원”

  • 동아일보

코멘트

조계종 어산어장 동주 원명 스님
제자들과 10년간의 연구 집대성… ‘생전예수재’ 표준화한 책 출간
“한문 중심 전통의례 보존하되… 젊은이들 위한 한글화 시작할것”

홍원사 법당에서 범패와 함께 추는 법고무 시범을 보여주고 있는 동주 스님. 그는 “전통이 사라지지 않게 보존하는 것이야말로 어른 세대의 책임”이라고 말했다. 전영한 기자 scoopjyh@donga.com
홍원사 법당에서 범패와 함께 추는 법고무 시범을 보여주고 있는 동주 스님. 그는 “전통이 사라지지 않게 보존하는 것이야말로 어른 세대의 책임”이라고 말했다. 전영한 기자 scoopjyh@donga.com
“천년 전통이 사라지는 걸… 보고만 있을 수는 없지 않습니까.”

4일 서울 강서구 홍원사에서 만난 회주, 동주 원명 스님은 최근 천년 전통의 불교 의식인 생전예수재(生前豫修齋)를 표준화·체계화한 ‘생전예수생칠지재의’를 출간한 이유를 이렇게 설명했다. 이 책은 대한불교조계종 초대 어산어장(魚山魚丈)인 동주 원명 스님이 제자들과 함께 10여 년의 연구 끝에 집대성했다.

생전예수재는 살아생전에 49일 동안 기도를 올리며 자신의 사후 명복을 비는 불교 의식이다. 어산은 불교 의식 음악인 범패(梵唄)를, 어장은 영산재, 수륙재, 예수재 등 불교의 재 의식을 총괄하고 가르칠 수 있는 최고 수준의 승려를 일컫는다.

―생전예수재는 지금도 많은 절에서 행해지고 있지 않습니까.

“생전예수재는 원래 하나의 원형에서 출발했어요. 그런데 세월이 흐르면서 사람마다, 지역마다, 절마다 조금씩 다르게 전해졌어요. 그 과정에서 사라지거나 생략한 부분들이 많이 생겼지요. 문맥이 뒤섞인 것도 있다 보니 집전자가 의식 전체를 이해하기 어렵기도 했고요. 지금 원형을 복원해 남겨놓지 않으면 천년 전통이 사라질 수도 있겠다 싶었습니다.”

―과거에는 범패를 배우는 게 스님들의 필수 코스였다고요.

“옛날에는 ‘범패를 배워야 중물이 든다’라고 했지요. 일제강점기 등 어려운 시절에는 중도 재(齋)를 지내야 먹고살 수 있으니, 범패는 살기 위한 수단이기도 했지요. 그런데 배우기가 너무 어렵고 힘들다 보니 지금은 전수하려는 스님이 거의 없어서 안타깝지요.”

―어산이 범패인 걸 모르는 사람도 많습니다.

“어산은 범패, 범음(梵音)이라고도 하는데, 가곡, 판소리와 함께 한국 3대 성악으로 불릴 정도로 우리 전통음악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합니다. 중국 위무제(조조)의 아들 조식이 산동 지방 어산을 지나는데 하늘에서 기막힌 범패가 들렸다고 해요. 이 소리를 모방해 후세에 전하면서 어산이라고 불렀다고 합니다. 어산은 크게 서울을 중심으로 전해진 경산제(경제)와, 대구 팔공산을 중심으로 한 영남제(팔공산제), 전주를 중심으로 한 호남제로 나뉘지요.”(경제 어산은 동주 스님을 중심으로 맥이 이어지고 있다.)

―오래전부터 불교 전통 의례도 한글화해야 한다고 하셨더군요.

“전통 소리는 문화재 전승을 위해서 그대로 보존해야 합니다. 그런데 요즘 세대, 특히 젊은이들은 한문을 모르지 않습니까? 범패를 한문으로 부르다 보니 들으면서도 무슨 의미인지 전혀 모르지요. 뜻도 모르고 읊고 듣는 기도가 무슨 소용인지요. 그러니 전통 의례는 전승을 위해 보존하고, 실용적인 한글 의례를 따로 개발하자는 것이죠. 1980년대부터 얘기했는데… 잘 안 됐습니다.”

―이유가 뭔가요.

“의외로 전해오던 전통 그대로 고수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여전히 많아요. 안타깝지요. 한글화되지 않은 성경, 찬송가로 예배하는 것과 마찬가지니까요. 단순히 한문을 번역하는 걸로 끝나는 게 아닙니다. 한글로 번역하면 양도 엄청나게 늘어나고 문장, 용어 등도 의식과 노래 등에 맞게 바꿔야 해요. 그래서 저 같은 어장뿐만 아니라 국문학자, 시인, 작곡가, 심지어 소설가 등 전문가들이 총동원돼야 가능한 일이지요. 10여 년 전에 시도했다가 너무 어마어마한 일이라 흐지부지됐는데…, 꼭 다시 시작하려고 합니다.”
#생전예수재#조계종#출간#전통의례#한문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