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종차별 피해 망명한 흑인 작가, 이젠 남아공의 보물로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8월 13일 15시 26분


코멘트

제라드 세코토 ‘오렌지를 든 소녀’

제라르 세코토, 오렌지를 든 소녀, 연도미상. 요하네스버그아트갤러리 제공.
제라르 세코토, 오렌지를 든 소녀, 연도미상. 요하네스버그아트갤러리 제공.
제라드 세코토 ‘오렌지를 든 소녀’

양갈래 머리를 한 흑인 소녀가 푸른색 티셔츠를 입고 오렌지를 들고 있다. 소녀의 셔츠는 물론 얼굴에도 조금씩 묻어 있는 푸른색은 보색 대비로 인해 오렌지의 노란빛과 소녀의 갈색빛 피부를 더 반짝이게 만든다.

그뿐만이 아니다. 푸른색은 역사적으로 종교화에서 성인이나 중요한 인물을 그릴 때 썼던 물감이다. 이 색을 평범한 흑인 소녀에게 입혔다는 점도 특별하다. 이 작품은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요하네스버그 아트 갤러리가 사상 처음으로 소장한 흑인 작가 제라드 세코토(1913~1993)가 그린 ‘오렌지를 든 소녀’다.

서울 세종미술관에서 열리고 있는 ‘모네에서 앤디워홀까지’전은 요하네스버그 아트 갤러리(JAG)의 소장품을 소개하는 전시. JAG 미술관은 영국계 귀족인 플로렌스 필립스(1863~1940)가 수집한 작품을 토대로 지어졌다. 이 컬렉션은 인상파 등 유럽 미술계 작품들이 중심을 이루고 있었는데, 1940년 미술관은 처음으로 흑인 작가의 작품을 소장한다. 바로 세코토가 그린 ‘노란 집들’이었다.

‘노란 집들’은 남아공 소피아타운 주택가의 한적한 풍경을 담은 그림이다. 세코토는 이 밖에도 자전거를 타고 출퇴근하거나 곡괭이질을 하는 사람들 등 일상의 모습을 캔버스에 담았는는데, 주인공은 모두 흑인이었다. 1940년 JAG 미술관이 세코토의 작품을 소장할 때는 당시 관장이 그의 그림 실력에 반했기 때문이었지만, 이제 이 그림들은 아파르트헤이트(인종차별 정책)로 일상이 파괴되기 전 남아공 사람들의 모습을 담은 기록이 됐다.

세코토는 교사로 활동하다 1938년 미술 대회에서 입상하며 요하네스버그로 이주해 본격적인 작가 활동을 했다. 갤러리 전시를 성공적으로 연 데 이어 미술관에 작품이 소장되는 영광도 얻었지만 그의 남아공 생활은 오래가지 못했다. 남아공에서 인종 차별의 분위기가 고조되자 1947년 세코토는 프랑스 파리로 망명했다. 그리고 이듬해인 1948년 백인 정권이 아파르트헤이트 정책을 법률로 정하면서 유색 인종의 거주지 분리를 합법화했다. ‘노란 집들’ 그림 속 평화로운 주택가도 지금은 찾아볼 수 없게 된 것이다.

JAG 미술관 역시 1940년 ‘노란 집들’을 소장한 뒤로 30여년간 흑인 작가의 작품을 미술관에 들이지 않았다. ‘오렌지를 든 소녀’가 미술관 소장품이 된 건 적어도 1970년대 이후로 보인다. ‘모네에서 앤디워홀까지’전의 마지막 전시장에 가면 세코토를 비롯해 이르마 스턴 등 20세기 남아공에서 활동했던 흑인 작가와 인종 차별 문제를 다룬 유명 현대 미술가 윌리엄 켄트리지의 드로잉도 만날 수 있다.

이 전시의 큐레이터 시모나 바르톨레나는 “인상파를 비롯한 유럽 작가들은 유명 미술관에서도 볼 수 있지만 남아공 작가들은 JAG 컬렉션에서만 볼 수 있기에 더욱 특별하다”며 “먼 남아공에서 온 작품들을 서울에서 감상한다는 의미를 가장 살릴 수 있는 게 바로 마지막 전시장일 것”이라고 했다. ‘모네에서 앤디워홀까지’전은 31일까지 열린다.

#제라드 세코토#오렌지를 든 소녀#남아프리카공화국#요하네스버그 아트 갤러리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