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경리 ‘토지’의 배경이 됐던 경남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 들판. 높은 산봉우리가 말발굽 모양으로 둘러싸고 있고, 한쪽 끝에는 섬진강이 흘러간다.
높은 산이 있으면 강물은 굽이굽이 흘러간다. 그러나 바다까지 지척에 있긴 어렵다. 경남 하동은 산과 강, 바다의 정취를 한꺼번에 즐길 수 있는 여행지다. 게다가 산은 ‘민족의 영산’인 지리산요, 강은 ‘서정 1번지’인 섬진강이요, 바다는 점점이 흩뿌려진 수채화같은 섬들이 펼쳐지는 남해 한려수도니 말 다했다. ‘하동학개론’의 저자인 조문환 시인과 함께 박경리 ‘토지’의 주무대인 평사리를 여행했다.
● 악양 들판을 달리다
“무덤의 팻말을 향해 앞뒤 걸음을 하는 눈물감춘 희극배우, 웃음참는 비극배우의 일상.”
학창시절 박경리의 대하장편소설 ‘토지(土地)’를 읽다가 노트에 적어놓았던 구절이다. 인생을 어떻게 이렇게 짤막한 문장으로 설명할 수 있을까. 머리를 툭치는 기분이었다. 삶이란 슬픈 데도 미소지어야 하고, 웃긴데도 눈물 흘려야 하는 연기를 하며 살아가는 것. 그러나 그런 모든 노력도 결국은 무덤의 팻말을 향해 앞뒤 걸음을 하고 있는 것이었다니….
토지 드라마 촬영지인 최참판댁 마을에 있는 초가집.경남 하동군 악양면 평사리에는 최참판댁이 있다. 박경리 ‘토지’의 배경이 바로 평사리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최참판이라는 인물이 살았던 곳은 아니지만, 드라마 촬영을 위한 세트장으로 재현해놓은 마을이다. ‘토지’는 최참판 댁의 최서희가 주인공이 아니라 그 시대, 이 땅을 딛고 살아간 수많은 민초들이 주인공인 작품. 서희와 길상의 신분을 뛰어넘는 사랑이 시작된 최참판댁은 한옥호텔로 이용되고 있다. 길상이가 살던 초가집 마당에는 악양의 특산품인 대봉감이 익어가고 있다.
박경리의 고향은 통영이고, ‘토지’를 집필한 곳은 원주다. 그런데 하동에 박경리문학관이 있다. 작가는 소설을 집필하는 동안 하동 평사리를 방문한 적이 없었지만, 시간이 지나 이곳을 찾았을 때 눈앞의 들녘이 자신이 상상하고 묘사한 소설 속 모습과 매우 흡사해 놀랐다는 일화가 전해진다.
최참판댁 한옥호텔에서 묵으면서 ‘하동학개론’의 저자이자 전 악양면장이었던 조문환 시인을 만났다. 밤하늘 총총한 별빛 아래에서 맥주를 한잔하면서 그에게 물었다. 하동에서 꼭 한번 가봐야할 곳은 어디냐고. 그는 섬진강 백사장을 가보라고 권했다. 박경리 선쟁이 ‘토지’ 3부에서 섬진강의 아름다움을 이야기하면서 “백사(白沙)는 또 얼마나 정결한가”라고 했던 바로 그곳이었다.
다음날 아침. 최참판댁 한옥호텔을 나서니 새벽에 비가 왔는지 지리산 자락의 구름이 안개처럼 마을을 덮고 있다. 동네를 걷다가 뛰기 시작했다. 섬진강까지 뛰어보겠다는 생각이었다. ‘서희와 길상이’ 카페를 지나 마을 입구를 벗어나니 곧바로 평사리 들판이었다. 들판 한가운데 부부처럼 늙어가고 있는 소나무 두그루가 서 있다. 조문환 시인이 “모든 사람들의 모습이 캔버스의 그림이 되는 곳”이라 바로 평사리 들판이다.
평사리 들판을 지키고 있는 부부 소나무.“그곳에 서면 누구나 그림이 되는 곳이 있다. 그곳에서 자전거를 타고 농로를 달리거나, 출렁거리는 청보리밭에 서서 물끄러미 바람을 잡으려 하거나, 제방에 앉아 평사리 들판과 형제봉을 응시하거나, 트랙터를 몰고 논을 장만하거나, 그 뒤에 수백마리의 학이 날아가거나, 괭이나 삽을 어깨에 메고 물고를 보러 가거나, 모내기하다가 막걸리를 한잔 하거나, 가을 황금들판에 콤바인이 길을 만들거나 그가 누구이든 무엇을 하든…. 모든 이곳에서의 인간의 동작은 그림이 된다.” (조문환 ‘하동학개론’)
평사리 들판은 산봉우리가 둥그렇게 말발굽 형상으로 둘러싸고 있다. 강원도 양구의 펀치볼처럼 가운데가 움푹 파인 분지형태다. 그러나 웅장한 양구 펀치볼과 달리 하동 평사리는 아늑한 분위기다. 조문환 시인은 평사리 들판에 있는 모든 사람이 동작이 그림이 되는 이유에 대해 “이 산과 저 산 사이의 ‘이상적 거리’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평사리 들판을 둘러싸고 있는 봉우리들의 거리는 약 2km. 멀지도 가깝지도 않은 ‘이상적 거리’ 때문에 악양의 들판은 이상향(理想鄕)이 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실제로 악양의 들판을 달려보면서 그런 생각을 했다. 이쪽 봉우리 마을에서 들판을 건너 저쪽 봉우리 마을까지 약 2km. 느릿느릿 걸으면 20∼30분이고, 뛰면 10분이면 닿을 수 있는 거리다. 바라보는 사람의 눈에 들판을 달려가는 나도 분명 그림이 되고 있으리라.
섬진강이 남해바다와 만나는 부근에 있는 평사리 백사장.들판을 가로질러 가다보면 끝에 뚝방을 만난다. 제방 도로 너머가 바로 섬진강이다. 대나무가 우거진 숲 속길을 달리다보니 드디어 섬진강 백사장이 나타났다. 사하라 사막처럼 광막한 모래밭이 펼쳐져 있다. 이런 백사장이 강변에 있을 일인가. 푹푹 빠지는 모래사장을 넘어서 섬진강에 손을 담가 물을 만져보았다.
섬진강은 전북 임실에서 시작해 구례 오산과 노고단을 휘감아 돌고 방향을 바꾸면서 600리를 달려온 끝에 하동에서 남해바다와 만나기 전, 너른 백사장을 만들어낸다. 바로 평사리 백사장이다. 이 곳에는 11월이 되면 시베리아에 살던 독수리들이 날아든다. 비슷한 시기에 백사장 섬진강물에는 전라도와 경상도를 가로지르는 거대한 그물망이 쳐진다. 북태평양 연어들의 회귀량을 조사하는 시설물이다. 춘삼월이 돌아오면 북태평양으로 연어는 새로이 떠나고 독수리들도 시베리아 벌판으로 돌아간다.
조문환 시인은 “연어처럼, 독수리처럼 마음먹으면 갈 수 있는 곳, 내 마음이 셔틀 운행할 수 있는 곳이 있어 준다면 난세를 이겨내기가 수월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묻는다. “연어와 독수리들처럼, 그대에게도 평사리 백사장 하나쯤은 있는가?”라고.
● 재첩의 고향
“언어 있어요?” “예, 튀김도 있고, 구이도 있어요.”
하동 화개장터 인근에 있는 설송식당을 찾았을 때 손님과 주인이 나누는 대화를 듣고 어리둥절했다. 도대체 언어란 어떤 물고기일까. 연어인가? 알고 봤더니 ‘은어’의 사투리 발음이었다. 설송식당 주인은 직접 섬진강에 고무옷을 입고 들어가 걸갱이 낚시로 은어를 잡는다. 은어가 갈 길을 미리 파악한 뒤 은어의 등에 낚싯바늘을 걸어서 잡는 방식이다. 가게 벽에는 주인장이 오래 써왔던 걸갱이 낚시가 상패처럼 걸려 있다.
겉은 바삭하고 속은 촉촉한 은어튀김에 화개장터 막걸리를 한잔하고, 뽀얀국물의 재첩국으로 밥을 먹는다. 하동에서는 재첩을 ‘갱조개’라고 부른다. ‘강조개(강에 사는 조개)’의 사투리 버전이다. 섬진강 모래바닥에서 바닷물과 민물이 몸을 섞으며 품어낸 재첩의 싱싱한 맛이 국물에서 느껴졌다. 전북 진안에서 임실, 순창, 곡성, 구례를 지나면서 수많은 협곡 6백리를 달려온 섬진강은 마침내 하동에서 바다와 만난다.
부드러운 모래를 밟으며 맨발로 걷기 좋은 하동송림.하동송림 앞 강변은 재첩의 주산지다. 곧 바다와 만나게 될 섬진강변에 아름드리 소나무가 숲을 이루고 있다. 거북이 등처럼 쫙쫙 갈라진 껍질을 가진 소나무는 한 여름에 시원한 그늘을 만들어낸다. 하동송림에서는 부드러운 모래길을 맨발로 걸어야 한다. 기왕 신을 벗었으니 백사장까지 걸어본다. 강변에는 체로 모래를 걸러 재첩을 잡는 어부가 있었다. 조문환 시인은 “숫물(섬진강)과 암물(바닷물)이 적절한 비율로 만나 서로 사랑을 하는 지점에서 최고의 우량 재첩이 탄생되는 데 하저구부터 하동 송림 구간”이라고 설명했다.
하동 금오산을 오르는 플라이웨이 케이블카에서 바라본 남해 다도해 풍경.하류로 더 내려가면 금오산(849m)이 나온다. 지리산이 동남쪽으로 뻗은 줄기로, 섬진강 망덕포구로 빠져들기 직전 우뚝 솟은 둘레 약 30km의 웅장한 산이다. 바닷가에 있는 산 치고는 제법 높다. 등산도 할 수 있지만 하동 플라이웨이 케이블카를 탑승하면 다도해 풍광을 바라볼 수 있는 전망대까지 오를 수 있다. 악양의 밤하늘을 별이 수놓았던 것처럼 남해 한려수도의 섬들이 은하수처럼 반짝인다. 사천만과 비토섬, 하동화력발전소, 광양만, 여수까지 남해안 일대가 시원하게 펼쳐진다.
하동 바로 앞에는 남해도가 있다. 하동과 남해는 고작 480m에 불과한 노량해협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고 있다. 그 위를 남해대교와 노량대교가 지나간다. 이 해협이 바로 이순신 장군의 최후의 격전지였던 노량해전 전장터였다.
하동은 차의 본향(本鄕)이기도 하다. 삼국사기에 서기 828년 당나라 사신으로 갔던 대렴 공이 차 씨를 가져와 쌍계사 인근 대나무 밭에 심었다는 기록이 있어 국내 차의 시배지로 받아들여지기 때문이다. 하동군 화개면 부춘리에 있는 ‘한밭제다’는 차의 정원이다. 산세를 따라 심어진 둥글둥글한 차밭을 거닐며 오두막과 정자에서 쉬면서 평화로운 차밭을 즐길 수 있다. 차밭 바로 앞에는 다원이 있다. 하동의 녹차인 ‘잭살’(작설의 방언)과 잭살 홍차를 주인장의 재미난 이야기와 함께 시음할 수 있다. 봄에는 찻잎을 따는 체험도 한다.
돌아오는 길에 ‘하동학개론’ 조문환 시인에게 받은 명함을 지갑에 넣다가 뒷면에 글귀가 적혀 있는 것을 발견했다. ‘여행은 타인이 된 나를 연인으로 맞아들이는 일이다.’ 일상에서 나는 점점 스스로에게 잊혀져가는 존재. 여행은 나를 일깨우고 사랑하게 만드는 데이트의 시간임이 분명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