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엔 송편? 조선땐 음력2월 ‘머슴날’ 음식이었다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9월 17일 15시 11분


코멘트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2월 초하루…모두가 둥근 반벽(半璧·반원 모양 옥기)을 만들어 송병(松餠·송편)이라 부른다.”

조선 후기인 1849년 발간된 우리나라 대표적인 세시풍속지 ‘동국세시기’는 송편을 음력 2월 1일 ‘머슴날’의 풍속으로 소개했다. 머슴날은 농가에서 머슴들의 수고를 위로하고자 떡을 짓고 술을 내놓는 날. 정조(재위 1776~1800년) 대에 쓰인 ‘경도잡지’에도 송편은 머슴날 음식으로 기록돼 있다.

민족의 대명절 한가위가 다음 달로 다가왔다. 이 때 빚거나 사먹는 송편은 추석하면 떠오르는 가장 대표적인 음식. 하지만 20세기 초만 해도 송편은 추석의 절식(節食)이 아니었을 가능성이 크다고 한다.

최근 출간된 책 ‘다시 쓰는 한국 풍속’(어문학사)은 1930년대까지도 송편이 ‘모두의’ 명절 음식은 아니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저자인 김용갑 전남대 문화유산연구소 박사(문화재학)와 전통문화 연구자 박혜경 씨는 “송편을 추석 풍속으로 여기는 인식은 20세기 들어 확산했고, 쌀 자급화와 도시화 등이 이뤄진 1970년대 이후 대중화됐다”고 썼다.
1978년의 송편. 동아일보DB.
1978년의 송편. 동아일보DB.

1984년의 송편. 동아일보DB.
1984년의 송편. 동아일보DB.

1930년대 풍속을 조사해 기록한 ‘중추원 풍속조사서’에도 “(2월 1일) 도시와 시골의 각 가정에서 성대하게 송편을 빚는다”고 할 뿐, 추석날 송편에 대한 언급은 없다. 국립문화재연구소(현 국립문화유산연구소)가 1930년대~2000년대 초 국내 풍속을 조사한 ‘세시풍속’에 따르면 조사 대상 172개 시·군 가운데 태백, 마산, 해남, 서귀포 등 최소 41개 지역에서 추석날 송편 문화는 드러나지 않는다.

한가위가 음력으로 8월 중순이라, 벼 수확을 앞두고 쌀이 가장 귀한 시기였던 점도 설득력을 더한다. 김 박사는 “송편은 시루떡 등과 달리 ‘빚는 떡’이라 정성과 시간이 많이 들고 콩, 팥 등 소도 마련해야 했다”며 “각계각층으로 확산하기엔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컸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물론 일부 농촌에선 추석날 송편을 빚긴 했다. 머슴날처럼 농사에 애쓴 일꾼을 격려하고 감사를 표하기 위해서다. 김 박사는 “그런 지역은 추석 무렵에 벼 수확이 가능했거나, 일찍 수확되는 품종을 파종한 농가 등으로 보인다”며 “추석을 기념하는 의례가 풍년 기원과 함께 ‘농공감사제’의 성격을 띠는 것과 관련이 있다”고 했다.

송편이 추석 음식으로 대중화된 건 1970년대부터로 풀이된다. “경제력이 높아지고 쌀을 자급할 수 있게 된 산업화, 도시화 이후”라고 저자들은 주장했다. 정부가 ‘통일벼’ 등을 개발하고 식량 증산을 추진해 1976년 쌀 자급률이 100%를 넘어섰다. 대략 이쯤부터 송편은 더는 ‘부잣집 식탁’에나 오르는 귀한 음식이 아니게 됐다.

이 시기는 농촌 인구가 도시로 대이동하던 때이기도 하다. 이와 함께 일부 농촌의 추석 음식이던 송편이 전국으로 확대됐을 수 있다. 김 박사는 “언론과 가정요리서 보급도 추석날 송편 빚는 문화의 확산에 기여했을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추석#송편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