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경궁이 겪은 600년 굴곡을 한눈에…‘동궐, 창경궁의 시간’ 개관

  • 뉴스1

코멘트

집복헌서 오는 30일 개관…영춘헌 특별개방도

창경궁 영춘헌 정면 (국가유산청 제공)
창경궁 영춘헌 정면 (국가유산청 제공)
창경궁의 600년 역사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전시가 열린다.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는 국가유산진흥원과 함께 오는 30일 서울 종로구 창경궁 집복헌에서 상설 전시 ‘동궐, 창경궁의 시간’을 개관한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전시는 창경궁의 건립과 변천, 왕실 생활과 국정 운영, 일제강점기의 훼손, 광복 이후 복원까지 창경궁이 걸어온 600년의 여정을 종합적으로 조망한다. 조선의 이궁으로서 창덕궁과 함께 ‘동궐’(東闕)로 불렸던 창경궁의 역사적 의미를 새롭게 재조명하는 자리다.

창경궁은 1418년 세종이 태종을 위해 지은 수강궁에서 출발한다. 이후 성종 14년(1483년) 창경궁으로 확장 건립되면서, 창덕궁과 함께 조선 왕실의 핵심 공간으로 자리 잡았다. 하지만 일제강점기 동물원과 식물원이 들어선 ‘창경원’으로 격하되는 아픔을 겪었고, 광복 이후 복원 과정을 거쳐 오늘날의 모습을 되찾았다.

‘동궐, 창경궁의 시간’ 포스터 (국가유산청 제공)
‘동궐, 창경궁의 시간’ 포스터 (국가유산청 제공)
전시에서는 창경궁 건립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의 역사, 국왕의 집무 공간, 왕실 여성과 세자의 생활 터전, 국가 의례의 현장까지 600년 역사의 다양한 모습을 생생한 자료와 함께 선보인다. 특히 창경원 시절의 훼손과 광복 이후 복원 과정을 보여주는 자료를 통해 궁궐이 겪은 굴곡진 역사를 돌아볼 수 있다. 전시 관람에는 수어 해설 영상과 점자 안내 책자가 제공돼 청각·시각 장애인도 함께 즐길 수 있다.

이와 함께 30일부터 11월 16일까지 평소 출입이 제한됐던 영춘헌이 특별 개방돼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관람객은 증강현실(AR) 기술로 생생하게 재현한 헌종 14년(1848년) ‘무신진찬의궤’ 속 왕실 연회 장면을 태블릿 컴퓨터(PC)로 보며 마치 실제 현장에 있는 듯한 경험을 할 수 있다.

전시와 체험은 사전 예약 없이 무료로 참여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궁능유적본부와 국가유산진흥원 누리집, 또는 궁능 활용프로그램 전화 상담실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서울=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