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총, 국내 및 한일 대졸 초임 분석 보고서 발표
“국내 대기업 초임 일본보다 지나치게 높아”
ⓒ뉴시스
300인 이상이 근무하는 국내 사업체의 정규직 대졸 초임이 평균 5000만원을 넘어섰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는 12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우리나라 대졸 초임 분석 및 한일 대졸 초임 비교’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 보고서는 2023년 고용노동부 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 자료를 기준으로 작성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300인 이상 국내 사업체 정규직 대졸 초임은 평균 5001만원(초과급여 제외 연 임금총액)인 것으로 나타났다. 5인 미만 사업체 정규직 대졸 초임은 2731만원으로 300인 이상 사업체의 54.6%에 불과했다.
같은 기준 300인 미만 사업체 정규직 초임은 3238만원, 30~299인 사업체 정규직 초임은 3595만원, 5~29인 사업체 정규직 초임은 3070만원이다.
특히 한일 간 대졸 초임 수준을 분석한 결과, 모든 규모에서 우리나라가 일본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인당 GDP(국내총생산) 대비 대졸 초임 수준 역시 우리나라가 일본보다 높고, 대기업에서는 그 차이가 더 큰 것으로 분석됐다.
대졸 초임 전체 평균(10인 이상)은 우리나라가 4만5401달러, 일본이 3만4794달러로 집계됐다.
대기업의 경우 한국(500인 이상 사업체)이 5만7568달러, 일본(1000인 이상 기업체)이 3만6466달러로, 전체 평균보다 격차가 더 컸다.
한일 간 1인당 GDP 대비 대졸 초임 수준(환율 무관)의 전체 평균도 우리나라가 일본보다 8.8%p 높았다. 대기업에서는 한국(500인 이상 사업체)이 일본(1000인 이상 기업체)보다 26.5%p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일 간 규모별 대졸 초임 격차는 10~99인 상용직 대졸 초임을 100으로 볼 때, 일본 대기업(1000인 이상 기업체)은 114.4에 불과한 반면, 우리나라 대기업(500인 이상 사업체)은 149.3에 달했다.
하상우 경총 경제조사본부장은 “우리가 일본보다 대·중소기업 간 대졸 초임 격차가 큰 이유는 우리 대기업 초임이 일본보다 지나치게 높기 때문”이라며 “이는 노동시장 내 일자리 미스매치 심화, 대·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 확대 등을 유발하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