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대한상공회의소 회장 겸 SK그룹 회장(사진)이 19일 “(한국의) 수출 주도형 경제를 바꿔야 할 때”라고 신년 한국 경제계에 화두를 던졌다. 최 회장은 이날 KBS의 시사 대담 프로그램인 ‘일요 진단’에 출연해 “미국 주도의 관세 인상과 이에 따른 인플레이션 압력, 인공지능(AI)의 빠른 기술적 변화 등의 불안 요소가 삼각파도(三角波濤)로 다가오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는 “세계 무역 질서가 세계무역기구 다자주의 체제에서 1 대 1 양자주의 체제로 바뀌고 있다”며 “(한국이) 수십 년간 활용했던 수출 주도형 경제 모델은 현재의 무역 질서에서 과거처럼 작동하기 어렵다”고 진단했다. 최 회장은 트럼프 1기 행정부 4년간 600억 달러(약 88조 원)였던 한국의 대미 무역 흑자가 바이든 정부 4년간 1500억 달러로 늘어난 탓에 통상 압력에 시달릴 수 있다고 봤다.
경제 체질 개선을 위한 해결책으로는 해외 시민 유입을 통한 내수 확대, 전략적 해외 투자, ‘K컬처’나 ‘K푸드’ 등 소프트파워 강화 등을 제시했다. 최 회장은 “(한국은) 해외 투자를 체계적으로 하고 있지 않다”며 “(미국의) 엔비디아가 크게 성장했을 때 엔비디아 안에 대한민국의 포션(비중)이 얼마나 있을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해외 시민에 대해선 “인구의 약 10%인 500여만 명의 해외인력 유입이 필요하다”고 했다.
글로벌 경제 연대도 강조했다. 최 회장은 “룰(rule)을 결정하는 나라는 1위 미국, 2위 중국, 3위 유럽연합 정도”라며 “피나는 노력으로 스스로 씨름 선수에서 수영 선수로 탈바꿈하거나 최소한 물속에서 씨름하자고 (룰을) 바꿀 수 있는 목소리를 키우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