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꾸’ ‘신꾸’ ‘텀꾸’… MZ세대 사로잡은 ‘별다꾸’ 트렌드

  • 동아일보

코멘트

올해 소비 트렌드 ‘토핑경제’ 일환
놀이문화로 자리잡은 꾸미기 열풍
전자기기 겨냥 ‘디지털 문방구’ 등장
세분화되는 취향에 맞춘 상품 증가

‘다꾸’(다이어리 꾸미기)에 이어 ‘신꾸’(신발 꾸미기), ‘백꾸’(가방 꾸미기), ‘텀꾸’(텀블러 꾸미기)까지. 스티커, 열쇠고리 등 소품을 이용해 자신의 취향과 개성을 표현할 수 있는 ‘꾸미기’가 MZ세대(밀레니얼+Z세대) 사이에서 소비문화로 자리 잡고 있다. 최근에는 연예인들의 포토카드나 폴라로이드 사진을 꾸미는 ‘폴꾸’(폴라로이드 꾸미기), 기계식 키보드를 꾸미는 ‘키꾸’ 등 다소 마니아틱한 꾸미기도 일종의 놀이문화로 자리 잡고 있다.

유통업체들은 꾸미기 열풍에 빠진 소비자들을 사로잡기 위해 관련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위버딩의 ‘헬로키티 2025 올인원 플래너’. 각사 제공
유통업체들은 꾸미기 열풍에 빠진 소비자들을 사로잡기 위해 관련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위버딩의 ‘헬로키티 2025 올인원 플래너’. 각사 제공
이처럼 각종 소지품을 활용한 ‘별다꾸’(별걸 다 꾸민다는 의미) 트렌드는 올해 소비시장 트렌드로 떠오른 ‘토핑경제’의 대표 사례로 꼽힌다. 토핑경제는 피자에 원하는 토핑을 얹듯 기성품에 옵션을 추가해 자신의 취향에 맞춰 제품을 개인화하는 트렌드를 일컫는다.

● ‘별다꾸 트렌드’ 공략 나선 유통업계

21일 라이프스타일숍 29CM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17일부터 올들어 이달 18일까지 3개월 동안 다이어리와 플래너 거래액은 전년 대비 89% 늘었다. 이 중 다이어리 꾸미기에 활용되는 스티커, 테이프는 각각 33%, 62% 증가했다.

아비오에의 ‘몽냥이 인형 키링’. 각사 제공
아비오에의 ‘몽냥이 인형 키링’. 각사 제공
가방, 텀블러, 스마트폰 등을 꾸밀 수 있는 열쇠고리(키링) 제품도 인기가 급상승하고 있다. 29CM에서 지난해 10월 17일부터 이달 18일까지 키링 제품의 거래액은 전년 대비 178% 급증했다. 인형 키링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8% 거래액이 증가했고, 립밤이나 간단한 소품을 담을 수 있는 미니가방 형태의 파우치 키링도 같은 기간 173% 늘었다.

29CM 관계자는 “가방이나 다이어리, 텀블러 등 매일 사용하는 소품에 자신만의 취향과 개성을 더하는 커스터마이징 문화가 보편화하면서 개성 있는 문구나 라이프스타일 브랜드가 인기를 얻고 있다”고 말했다.

아성다이소의 ‘원형 스탬프’. 각사 제공
아성다이소의 ‘원형 스탬프’. 각사 제공
유통업계에서는 꾸미기에 빠진 소비자들을 사로잡기 위해 차별화한 상품들을 속속 내놓고 있다. 아성다이소는 MBTI 트렌드를 반영한 성격 유형 꾸미기 스티커, 별도의 잉크패드가 필요 없는 캐릭터 스탬프 등 ‘다꾸족’을 위한 소품들을 판매하고 있다. 다이소는 ‘백꾸’를 즐기는 소비자들을 위해 털실이 달린 철사를 꼬고 엮어 손수 키링 인형을 만들 수 있는 ‘DIY 나만의 인형 만들기’ 상품도 판매 중이다.

LF가 운영하는 아떼 바네사브루노 액세서리는 ‘백꾸’ 트렌드를 겨냥해 대부분의 원단백에 미니 파우치를 매달아 선보이고 있다. 가방에 달아 활용할 수 있는 ‘셀르 카드 지갑’은 출시 한 달 만에 물량이 소진되는 등 큰 호응을 얻었다. 이 외에 진주, 리본 장식의 ‘플라워 트릭 키링’ 등 백꾸에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소품을 선보이고 있다.

투썸플레이스는 최근 ‘텀꾸’ 트렌드를 반영한 설 선물 세트인 ‘투썸 데일리 커피&텀블러 데코 세트’를 내놨다. 텀블러 휴대를 편리하게 해주는 스트랩과 나만의 이니셜을 새길 수 있는 홀로그램 리무버블 스티커 등 데코 아이템이 포함돼 있다.

아트박스의 ‘목걸이 포카 케이스’. 각사 제공
아트박스의 ‘목걸이 포카 케이스’. 각사 제공
아트박스는 아이돌 포토카드(포카)를 수집하고 꾸미는 것을 즐기는 소비자들을 위해 ‘포카 홀더’ ‘포카 앨범’ 등을 판매하고 있다. 아트박스에 따르면 지난해 관련 제품 매출은 전년 대비 약 35% 늘었다.

● 꾸미기 열풍에 ‘디지털 문방구’도 등장

‘디지털 다이어리 꾸미기’(디다꾸)와 같이 전자기기를 활용한 꾸미기 문화가 확산하면서 ‘디지털 문방구’라는 전에 없던 서비스도 각광을 받고 있다. 디다꾸는 태블릿 PC 속 전자 다이어리를 디지털 스티커 등 각종 디자인 아이템으로 꾸미는 것을 의미한다. 디다꾸는 태블릿 PC를 활용해 필기하거나 그림 그리는 젊은 세대가 늘어나면서 생겨난 트렌드다.

디지털 문방구는 이런 아이템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면서 생겨났다. 2020년 서비스를 시작한 ‘위버딩’이 대표적인 사례다. 위버딩은 다이어리 및 노트 서식, 스티커, 브러시 등 다양한 디지털 문구를 사고팔 수 있는 오픈마켓형 플랫폼이다. 현재 위버딩에서 활동하고 있는 크리에이터는 약 1900명, 판매 중인 콘텐츠는 2만여 개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토핑경제가 대세로 떠오름에 따라 앞으로도 세분화되는 소비자 취향에 맞춘 문구 및 라이프스타일 디자인 브랜드가 꾸준히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소비 트렌드#토핑경제#MZ세대#디지털 문방구#별다꾸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