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고강도-초경량 ‘3세대 자동차 강판’ 상용화 목표”

  • 동아일보

코멘트

[위기에도 다시 뛴다] 현대제철

현대제철이 고부가가치 제품인 ‘3세대 강판’을 앞세워 어려운 경영 환경 극복에 나선다. 현대제철은 올해 차세대 자동차 강판인 3세대 강판의 상용화를 추진하고 있다.

3세대 강판은 고도화된 기술의 집약체다. 안정성을 위한 고강도와 디자인을 위한 고성형성을 동시에 요구하기 때문이다. 두 성질은 반비례 관계에 있어 동시에 갖추기 어렵다. 강도를 높이면 성형성이 떨어지고 성형성을 높이면 강도가 낮아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현대제철은 10여 년간의 연구개발을 통해 고강도를 유지하면서도 성형성을 높인 3세대 강판 개발에 성공했다.

현대제철이 이번에 상용화하는 3세대 강판은 1.2GPa(기가파스칼)급의 고강도 제품이면서도 곡면 성형도 가능한 뛰어난 가공성을 갖췄다. 기존 1.0GPa급 초고장력강보다 무게도 10% 이상 가볍다. 업계에선 디자인과 충돌 안정성, 경량화를 모두 요구하는 전기차에 최적화된 제품으로 평가하고 있다.

현대제철은 현대차그룹의 철강 부문 계열사로서 현대차·기아의 모빌리티 소재 역량 강화에 기여한다는 계획이다. 현대차·기아에 우선적으로 3세대 강판 공급을 시작해 다른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까지도 자동차 강판 공급망을 확대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구체적으로는 현재 20% 수준의 자동차 강판 글로벌 판매 비중을 최대 40%까지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강판 생산을 뒷받침하기 위한 글로벌 거점 확보도 추진하고 있다. 현대제철은 지난해 미국 조지아주에 전기차용 강판 공급을 위한 스틸서비스센터(SSC) 가동을 시작했다. 신흥시장으로 떠오르는 인도에도 푸네 SSC를 착공한 바 있다. 아울러 최근에는 글로벌 보호무역주의에 대응하고 주요 자동차 시장인 미주 지역에 자동차 강판을 공급하기 위해 미국 현지에 생산 공장을 건설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이와 관련해 서강현 현대제철 사장은 앞서 신년사를 통해 “무역 블록화 및 공급망 규제로 인해 수출경쟁력 강화와 현지 판매 체제 구축이 필수적”이라며 “이에 대응할 글로벌 사업 거점을 확보해 차별화된 글로벌 경쟁력의 원천으로 삼아야 할 것”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위기에도 다시 뛴다#기업#현대제철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