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동아일보
오피니언
정치
경제
국제
사회
문화
연예
스포츠
헬스동아
트렌드뉴스
통합검색
언어선택
방문하고자 하는 언어의 홈페이지를 선택하세요.
한국어
English
中文(簡体)
日本語
마이페이지
전체메뉴 펼치기
경제
서울 상위 1% 부동산 임대소득 4.3억…전북·경북·경남은 1.3억
뉴스1
업데이트
2025-01-29 08:26
2025년 1월 29일 08시 26분
입력
2025-01-29 08:25
2025년 1월 29일 08시 25분
코멘트
개
좋아요
개
코멘트
개
공유하기
공유하기
SNS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공유하기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트위터로 공유하기
URL 복사
창 닫기
즐겨찾기
읽기모드
뉴스듣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가
가
가
가
가
창 닫기
프린트
재작년 서울 임대소득자 1인당 평균소득 2460만원
상위 1%, 서울·제주·대구 등 순…“임차료 부담 완화해야”
서울 중구 남산에서 바라본 도심 아파트 단지와 빌라촌. (뉴스1 DB). /뉴스1
서울 거주자 중 부동산 임대소득 상위 1%에 해당하는 사람의 평균 임대소득은 4억 3000만 원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시도 가운데 상위 1%의 임대소득이 가장 낮았던 전북·경북·경남 등과 비교하면 약 3.3배 격차가 났다.
29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임광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세청에서 받은 ‘지역별 부동산 임대소득 신고현황’에 따르면 2023년 종합소득세 신고자 중 부동산 임대소득을 신고한 서울 거주자는 36만 370명이었다.
이들이 신고한 부동산 임대소득은 총 8조 8522억 2900만 원으로, 1인당 평균 소득은 2460만 원이었다.
이중 상위 1%에 해당하는 3603명의 총 소득은 1조 5501억 9700만 원이었다.
전체 임대소득의 17.5%에 해당하는 수준으로, 1인당 4억 3000만 원의 소득을 거둔 셈이다.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가장 많은 금액이기도 하다.
서울 다음으로 상위 1%의 부동산 임대소득이 높은 제주였다.
제주의 상위 1%인 164명의 총 임대소득은 371억 원으로, 1인당 평균 소득은 약 2억 3000만 원이었다.
이어 대구(2억 2000만 원·487명), 경기(2억 1000만원·3663명)와 부산(2억 1000만 원·710명), 인천(1억 9000만 원·632명) 등 순이었다.
반면 전북(258명)과 경북(384명), 경남(529명) 등 3곳은 상위 1%의 임대소득이 1억 3000만 원으로 전국 시도 가운데 가장 낮았다.
임 의원은 “지역별 경제활동 및 주택 인프라 수준에 따라 부동산 임대소득의 격차가 크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인다”며 “각 지역의 전월세 주택 수요 및 공급 현황을 분석해 임대주택의 안정된 공급 확대와 임차료 부담 완화를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세종=뉴스1)
좋아요
0
개
슬퍼요
0
개
화나요
0
개
댓글
0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등록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작년 살인사건 피의자 절반은 가족·친척…배우자 살인 18.5%로 1위
한일 정상 만찬 메뉴는 ‘안동소주·찜닭·장어구이 등’…“日측 배려 엿보여”
‘與 마이웨이’ 노란봉투법 국회 통과…‘더센’ 상법 개정안 온다
좋아요
0
개
슬퍼요
0
개
화나요
0
개
0
닫기
댓글
0
뒤로가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