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소비 2.2%↓, 21년만에 최대 감소…연말 덮친 계엄 후폭풍

  • 뉴스1

코멘트

작년 연간 소비 3년 연속 내리막…건설투자도 4.9%↓
12월은 생산 2.3%↑·소비 0.6%↓·투자 9.9%↑

서울 시내 한 생활소품 매장의 썰렁한 모습. /뉴스1
서울 시내 한 생활소품 매장의 썰렁한 모습. /뉴스1
지난해 산업생산은 전년 대비 1.7% 증가했지만, 소비는 21년 만에 최대 폭인 2.2% 감소해 내수 부진이 지속된 것으로 나타났다. 투자 부문에서 설비 투자는 4.1% 늘었지만, 건설 투자는 4.9% 줄어 부문별 온도 차가 있었다.

작년 12월의 경우 전(全)산업생산이 2.3% 늘며 4개월 만에 반등했지만, 12·3 비상계엄 여파로 소비와 밀접한 숙박·음식점 등 일부 서비스업 생산 부문과 소매판매 등은 감소세를 보였다.

통계청이 3일 발표한 ‘2024년 12월 및 연간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전(全)산업 생산지수(농림어업 제외)는 전년보다 1.7% 증가했다​.

광공업 생산은 전기장비, 1차금속 등에서 줄었으나, 반도체, 의약품 등의 생산이 늘어 4.1% 증가했다​.

서비스업 생산은 도소매업 등에서 감소했지만, 운수·창고업, 금융·보험업 등이 증가하면서 1.4% 증가했다. 서비스업 생산은 2021년부터 4년 연속 증가했다.

소비 동향을 나타내는 소매판매액지수는 전년 대비 2.2% 줄어 신용카드 대란 사태가 있었던 2003년(-3.2%) 이후 가장 큰 감소 폭을 기록했다. 2022년부터 3년 연속 감소하며 역대 최장기간 하락세가 이어졌다.

승용차 등 내구재(-3.1%),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1.4%), 의복 등 준내구재(-3.7%)에서 판매가 모두 줄어든 영향이다​.

설비투자는 반도체 제조용 기계 등 기계류(2.9%)와 기타 운송장비(7.8%)에서 투자가 늘어나며 전년 대비 4.1% 증가했다​.

국내기계수주는 전년 대비 1.2% 증가한 반면, 건설투자를 나타내는 건설기성(불변)은 건축(-6.9%), 토목(1.8%)에서 실적이 엇갈리며 4.9% 감소했다​.

건설수주(경상)는 철도·궤도 등 토목(-1.9%)에서 줄었으나, 주택 등 건축(11.8%)에서 증가하면서 전년 대비 7.2% 증가했다​.

통계청 제공
통계청 제공
지난해 12월 전산업생산은 서비스업(1.7%)과 광공업(4.6%)에서 생산이 늘어 전월 대비 2.3% 증가했다​.

다만 서비스업 생산의 경우 소비와 밀접한 숙박·음식점(-3.1%)과 예술·스포츠·여가(-6.9%)의 감소 폭이 컸다.

재화 소비 동향을 보여주는 소매판매는 승용차, 가전제품 등에서 판매가 줄어 전월 대비 0.6% 감소했다​.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1.0%)에서 판매가 증가했으나, 승용차 등 내구재(-4.1%), 오락·취미·경기용품 등 준내구재(-0.6%)에서 판매가 감소하며 전체적으로 감소세를 보였다​.

공미숙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지난 12·3 비상계엄 여파가 12월 소비 지표 부진에 끼친 영향과 관련해 “서비스 생산에서 숙박·음식점과 예술·스포츠·여가가 마이너스(-)이고, 소매판매지수가 회복되지 않는 모습을 보면 영향이 있는 걸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설비투자는 기계류 및 운송장비 투자가 모두 늘어나며 전월 대비 9.9% 증가했다​.

건설기성은 토목(-10.9%)에서 공사 실적이 줄었으나, 건축(5.9%)에서 실적이 늘어 전월 대비 1.3% 증가했다​.

현재 경기를 나타내는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 대비 보합을 기록하며 97.6을 유지했다​.

반면 향후 경기를 예측하는 선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 대비 0.2포인트(p) 하락한 100.6을 기록했다.

(세종=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