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연구팀 발표… 신약개발 기대
‘암세포 사멸방식’ 재발 가능성 높아
암 치료 패러다임 바꿀 치료법 관심
암세포를 정상 세포로 되돌리는 ‘분자 스위치’를 발견한 조광현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아래)와 연구팀. KA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암세포를 정상 세포로 되돌리는 ‘분자 스위치’를 찾았다. 향후 항암제 신약 개발에도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5일 KAIST는 조광현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팀이 정상 세포가 암세포로 변하는 순간을 포착해 이를 분석한 결과 암세포를 정상 세포로 되돌릴 수 있는 분자 스위치를 발견했다고 밝혔다. 해당 연구는 지난달 22일 국제학술지 ‘어드밴스트 사이언스’에 발표됐다.
연구팀은 암 발생 과정에서 정상 세포가 암세포로 바뀌기 직전 정상 세포와 암세포가 공존하는 불안정한 상태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했다. 이후 수학적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을 통해 유전자 단위에서 암세포를 다시 정상 세포로 되돌릴 수 있는 분자 스위치를 발굴했다.
연구팀은 실제 이 스위치가 작동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대장암 세포에서 분자 스위치를 조절한 결과 정상 세포로 돌아오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를 주도한 조 교수는 “암세포를 정상 세포로 되돌릴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변화의 순간에 숨어 있다는 것을 처음으로 규명했다”고 했다.
이번 연구는 향후 암 가역치료의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현재 모든 항암치료제는 암세포를 사멸시키는 방식이지만 재발 가능성과 부작용이 있다는 한계가 있다. 암세포를 파괴하지 않고 정상 세포로 되돌리는 암 가역치료 방식은 환자의 부담을 줄이고 더 쉽고 빠르게 회복할 수 있게 함으로써 암 치료의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는 치료법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