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ST, 오차도 10만분의 1로 낮춰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핵융합 반응을 시뮬레이션하는 속도를 1000배가량 끌어올린 인공지능(AI)을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이지민 윤의성 UNIST 교수팀은 핵융합 반응에서 필수적인 플라스마 상태를 설명하는 수학 방정식을 빠르게 풀 수 있는 AI 모델 ‘FPL―net’을 개발했다.
인공태양이라고 불리는 핵융합 발전은 차세대 에너지로 꼽히고 있지만, 태양처럼 고온의 플라스마 상태를 오랫동안 유지해야 하는 기술적 장벽이 남아 있다. 특히 플라스마 상태를 나타내는 수학 방정식인 ‘포커-플랑크-란다우 방정식(FPL)’은 계산량이 많고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진은 기존보다 1000배 빠른 속도로 해를 구할 수 있는 AI를 개발하고, 예측 오차를 10만분의 1 수준으로 낮춰 정확도를 높였다.
최지원 기자 jwchoi@donga.com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