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 감축 앞장” 청정수소 생산 추진-무탄소 에너지원 도입

  • 동아일보

코멘트

[R&D 경영] GS칼텍스

GS칼텍스는 불확실성이 높은 경영 환경에서 지속가능하고 수익성 있는 성장을 실현하기 위해 근본적인 사업 구조 혁신을 지속하고 있다. 특히 정유·석유화학 사업의 안정적인 성장을 바탕으로 수소, 탄소 포집·저장(CCUS), 폐플라스틱 리사이클링 등 저탄소 신사업을 확대 중이다.

GS칼텍스는 청정수소를 공급하기 위한 수소 사업 밸류체인을 구축하고 있다. 대규모 수소 생산 설비 운전 및 판매 네트워크 운영 경험과 역량을 바탕으로 소비자에게는 안정적인 수소 에너지를 공급하고 기업에는 실질적인 탄소 감축 방안을 제공할 수 있도록 수소 사업을 추진해 나가고 있다.

2023년에는 한국남동발전과 여수산단에 청정수소 밸류체인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GS칼텍스는 청정수소 생산을, 남동발전은 수소 발전을 맡아 청정수소 밸류체인에 대한 협력 체계를 구축했으며 해당 업무협약을 기반으로 여수 수소 허브 구축을 통해 여수 지역의 탄소 배출 감축과 안정적인 전력 공급에 기여할 계획이다.

GS칼텍스는 수소 생산 공정 중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배출 감축 방안으로 CCUS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 한국화학연구원과 CCUS 사업 협력 및 전략적 제휴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또한 전라남도 및 여수시와 CCUS 메가프로젝트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여수산단 내에서 CCUS 화학적 전환 기술을 중심으로 기술 연구 및 실증을 진행할 계획이다.

무탄소 에너지원을 도입해 탄소배출량을 감축하는 사업도 추진하고 있다. 지난해 남해화학과 무탄소 스팀 도입·공급사업 업무협약을 체결했으며 남해화학이 보유한 유휴 황산공장을 활용해 생산된 무탄소 스팀을 GS칼텍스 여수공장에 도입해 기존 사용 중인 액화천연가스(LNG) 원료 스팀을 대체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연간 약 7만 t의 탄소를 감축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GS칼텍스는 플라스틱 순환경제 구축을 위해 폐플라스틱의 화학적 재활용과 물리적 재활용 사업을 확대하고 있다. 화학적 재활용 기술로 생산된 열분해유를 정유 및 석유화학 공정의 원료로 투입하고 있으며 2010년부터는 물리적 재활용 사업에도 힘을 쏟고 있다.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해 생산된 ‘저탄소 MR 복합수지’는 자동차, 가전 등의 부품 소재로 사용된다.

#R&D 경영#경영#기업#GS칼텍스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