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의 “국내 제조기업 10곳중 4곳, 전기요금 올라 새 전력 조달 도입 의향”

  • 동아일보

코멘트

“자가발전소 세우거나 전기 구매”
주택용 42% 오를때 산업용 227%↑

대한상공회의소가 국내 제조업 300개 사를 대상으로 ‘전기요금 인상으로 더 저렴한 조달 방식을 고려할지 여부’에 대해 조사한 결과. 대한상의 제공
대한상공회의소가 국내 제조업 300개 사를 대상으로 ‘전기요금 인상으로 더 저렴한 조달 방식을 고려할지 여부’에 대해 조사한 결과. 대한상의 제공
국내 제조기업 10곳 중 4곳이 산업용 전기요금이 오르자 자가 발전 등 새로운 전력 조달 방식을 도입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 대한상공회의소가 국내 제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전기요금과 전력 시스템에 대한 기업 의견’에 따르면 산업용 전기요금 인상으로 인해 더 저렴한 전력 조달 방식을 시도하겠냐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한 기업은 11.7%로 집계됐다. 당장은 아니더라도 요금이 더 오를 경우 시도하겠다는 기업은 27.7%였다. 향후 새로운 전력 조달 방식을 시도할 의향이 있는 제조기업이 전체의 39.4%에 달한 것이다.

대한상의는 산업용 전기요금이 계속 오르다 보니 자가 발전소를 세우거나 전력도매시장에서 전기를 구매하는 게 더 저렴한 상황이 됐기 때문에 이러한 조사 결과가 나왔다고 분석했다. 대한상의에 따르면 2000년 이후 주택용 전기요금이 42% 오르는 동안 산업용 전기요금은 227% 상승했다. 2023년에는 산업용 전기요금이 주택용 전기요금을 넘어서기도 했다.

국내 산업용 전기요금 인상 추이 및 용도별 전기요금. 대한상공회의소 및 한국전력 제공
국내 산업용 전기요금 인상 추이 및 용도별 전기요금. 대한상공회의소 및 한국전력 제공
현재 산업용 전기요금 수준이 회사에 큰 부담이 된다는 응답도 78.7%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46.4%는 경영 활동이 위축될 정도로 전기요금 부담이 크다고 답했다. 또 조사 기업의 79.7%가 전기요금 인상 탓에 영업이익이 감소했다고 했다. 앞으로 전기요금 인상이 계속 이어진다면 ‘경영 전략이나 투자 계획을 재검토할 가능성이 있는지’를 묻자 53.0%가 재검토 의사가 있다고 답변했다.

한편 인공지능(AI) 기술의 발전에 따라 전력 소비가 많은 데이터센터, 반도체 공장 등이 늘어나는 가운데 ‘분산 전원 시스템’ 도입에 동의하는 기업이 전체의 74.3%로 나타났다. 기존의 중앙집중형 전력 공급 시스템은 발전시설과 수요 지역을 연결하는 장거리 송전망 건설이 필요하다. 반면 분산 전원 시스템은 전기를 해당 지역에서 생산해 사용하기 때문에 장거리 송전망 건설로 인한 지역 갈등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조영준 대한상의 지속가능경영원장은 “미래 첨단산업 발전과 국가 경쟁력 제고를 위한 전기요금 책정과 전력 시스템 구축을 고민해야 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국내 제조기업#전력 조달#산업용 전기요금#데이터센터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