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동아일보
오피니언
정치
경제
국제
사회
문화
연예
스포츠
헬스동아
트렌드뉴스
통합검색
언어선택
방문하고자 하는 언어의 홈페이지를 선택하세요.
한국어
English
中文(簡体)
日本語
마이페이지
전체메뉴 펼치기
경제
유튜버 다 ‘억’ 소리 아니다…평균 1년 벌어들이는 돈 보니
뉴시스(신문)
업데이트
2025-03-05 15:22
2025년 3월 5일 15시 22분
입력
2025-03-05 09:39
2025년 3월 5일 09시 39분
코멘트
개
좋아요
개
코멘트
개
공유하기
공유하기
SNS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공유하기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트위터로 공유하기
URL 복사
창 닫기
즐겨찾기
읽기모드
뉴스듣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가
가
가
가
가
창 닫기
프린트
ⓒ뉴시스
초등학생들의 장래 희망 1순위로 꼽히는 유튜버 등 디지털 크리에이터의 연평균 수익이 약 1346만원으로 조사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전파진흥협회는 디지털 크리에이터 활동으로 일정 규모 이상의 수익이 발생한 10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을 통해 지난해 9월~11월까지 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최근 1년간 디지털 크리에이터 활동 평균 수익은 1346만4000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익이 발생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다. 수익이 발생하지 못한 사람까지 포함한다면 더 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수익별 항목을 보면 플랫폼 광고(44%)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개별 광고 및 홍보(34.7%), 후원금(5.3%), 제휴 판매 수수료(2.9%), 기타(13.1%) 순으로 뒤를 이었다.
디지털 크리에이터는 남성의 비중이 여성보다 15.4%포인트 높았고, 연령별로는 30대가 49%로 약 절반가량을 차지하며 가장 많았다.
거주 지역은 서울 36.8%, 경기·인천 31.3%로 수도권 비중이 높았다.
디지털 크리에이터를 전업으로 하는 비중은 32.6%, MCN사와 계약을 맺고 활동하는 비중은 6.6%로 조사됐다.
콘텐츠를 주로 유통하는 플랫폼은 구글 유튜브가 72.8%로 가장 많았다. 이어 인스타그램(17.4), 틱톡(3.2%), SOOP(2.8%), 치지직(1.2%), 네이버 클립(1.1%), 네이버TV(0.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유튜브를 주로 이용하는 크리에이터는 남성이 80.1%, 여성 62.9%로 나타났지만, 인스타그램을 주로 이용한다는 답변은 여성이 25.5%로 남성(11.4%) 크리에이터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다.
구독자 수는 ‘1만명 미만’이라는 응답이 50.6%로 가장 많았고, ‘1만~10만명 미만은 32.4%, 10만명 이상은 17%로 나타났다.
디지털 크리에이터들은 한 달 평균 12.3개의 일반 영상과 9개의 숏폼 영상을 올리며, 85.4%가 기획, 제작, 편집, 자막 등 미디어·콘텐츠 업로드를 위한 과정을 직접 담당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콘텐츠 1건 제작에 평균 20시간이 소요되며, 이중 제작이 10.6시간, 기획 3.9시간, 계정관리 1.7시간, 라이브 방송과 진행 1.5시간을 차지했다.
디지털 크리에이터로서 애로사항을 묻는 질문에는 ’수익 발생까지 일정 시간이 소요된다‘는 답변이 44.8%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는 ’미디어 콘텐츠 기획의 어려움(10.5%)‘, ’기술 부족(10.3%)‘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필요한 지원 정책에 대해선 제작비 지원(42.5%), 장비 지원(15.3%), 스튜디오 등 제작 공간 지원(12.9%), 사무 공간(11.6%), 교육(9.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서울=뉴시스]
좋아요
0
개
슬퍼요
0
개
화나요
0
개
댓글
0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등록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정규직처럼 펌핑”…美 모유 판매 시장, 보디빌더가 키웠다
트럼프 “반도체 관세, 이르면 다음주 결정”
[사설]예타 기준 26년 만에 완화… 지방선거용 사업 남발은 막아야
좋아요
0
개
슬퍼요
0
개
화나요
0
개
0
닫기
댓글
0
뒤로가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