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토지주택공사(LH·사진)가 올해 19만 채 이상 공공주택을 공급하고 총 21조 원 이상 투자를 집행해 건설 경기 활성화에 나선다. 공사비 급등, 프로젝트파이낸싱(PF) 자금 경색 등 건설업계의 위기가 심화하자 ‘구원투수’로 나선 것이다.
13일 LH는 2025년 업무계획에 따라 연말까지 사업 승인 10만 채, 매입·전세 임대 9만 채 등 19만 채 공급 기반을 확보한다. 또 지방 건설업 침체를 해소하기 위한 마중물도 공급한다. 올해 전체 공공기관 투자계획(66조 원)의 33% 수준인 21조6000억 원 투자를 집행한다. 이 가운데 약 12조3120억 원(57%)은 상반기에 투자할 계획이다.
‘악성’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을 매입해 자금 흐름에 허덕이는 건설사들의 숨통을 틔운다. 매입 규모는 약 3000채이며 지역 내 임대 수요가 있는 곳으로 선정할 계획이다. 전담 조직을 꾸려 기준을 마련할 예정이다.
수도권 주택 공급 확대를 위한 미분양 주택 매입 확약도 이어간다. 매입 확약은 LH가 공급한 수도권 공공택지를 매수한 건설업체가 올해 안에 착공하면 준공 후 미분양이 발생하더라도 이를 LH에서 사들이는 것을 약속하는 것으로 사업 위험이 줄어든다. 지난해 LH는 2만5000채에 대한 매입 확약을 마쳤다.
LH는 지난해 10만6000채 규모 사업 승인을 마쳤는데 이는 2010년 이후 최대 규모였다. 착공 물량은 5만 채로 당초 계획(3만8000채)을 초과 달성했다. 지구계획과 주택사업 승인을 동시에 진행하는 패스트트랙 등을 도입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LH 측은 “전세사기 피해자 지원,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 조성 등 기존 정책사업 외에도 건설 경기 활성화와 주택 수급 안정이라는 본연의 임무를 완수하기 위해 역량을 쏟고 있다”며 “LH의 공적 역할을 더욱 확대할 것”이라고 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