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동아일보
오피니언
정치
경제
국제
사회
문화
연예
스포츠
헬스동아
트렌드뉴스
통합검색
언어선택
방문하고자 하는 언어의 홈페이지를 선택하세요.
한국어
English
中文(簡体)
日本語
마이페이지
전체메뉴 펼치기
경제
초과급여 빼고도…대기업 연봉 사상 첫 7천만원 돌파
뉴시스(신문)
업데이트
2025-03-16 12:23
2025년 3월 16일 12시 23분
입력
2025-03-16 12:22
2025년 3월 16일 12시 22분
코멘트
개
좋아요
개
코멘트
개
공유하기
공유하기
SNS
퍼가기
카카오톡으로 공유하기
페이스북으로 공유하기
트위터로 공유하기
URL 복사
창 닫기
즐겨찾기
읽기모드
뉴스듣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가
가
가
가
가
창 닫기
프린트
ⓒ뉴시스
지난해 300인 이상 대기업의 평균 연봉이 초과급여를 제외하고 사상 처음 7000만원을 넘어섰다. 반면 300인 미만 기업 근로자 임금은 대기업의 62.2% 수준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가 고용노동부 사업체노동력조사 원자료를 분석해 ‘2024년 사업체 임금인상 특징 분석’에 따르면 지난해 상용근로자 연 임금총액 인상률은 지난해(2.8%)보다 소폭 상승한 2.9%다. 시간당 임금 인상률은 이보다 높은 3.5%로 분석됐다.
연 임금총액이란 초과급여를 제외한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을 연간으로 환산한 금액으로, 300인 이상 사업체 상용근로자 연 임금총액은 처음으로 초과급여를 제외하고도 7000만원을 넘어선 7121만원에 달했다.
300인 미만 중소기업은 4427만원으로 300인 이상 기업 임금 수준의 62.2%에 머물렀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전기·가스·증기업이 8870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2019년 이후 5년 만에 금융·보험업(8860만원)보다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전기·가스·증기업은 2019년에도 금융·보험업을 앞지른 바 있다.
임금이 역전된 이유는 전기·가스·증기업의 특별급여 인상률이 전년 대비 22.7%로 모든 업종 중 가장 높았던 데 반해, 금융·보험업은 특별급여가 전년 대비 3.0% 하락한 영향으로 분석된다.
연 임금총액이 가장 낮은 업종은 숙박·음식점업(3084만원)이었으며, 업종 간 최대 임금격차는 5786만원이다.
지난해 상용근로자 시간당 임금은 2만6505원으로 2023년(2만5604원)대비 3.5% 인상돼 지난해 연 임금총액 인상률(2.9%)보다 높았다.
물가인상률 대비 임금 인상률은 2배 가까이 오른 것으로 분석됐다. 2011년 대비 누적 물가상승률은 27.1%, 임금 인상률은 연 임금총액 54.4%와 시간당 임금 71.1%로 각 2배, 2.6배였다.
하상우 경총 경제조사본부장은 “작년 300인 이상 사업체 연 임금총액이 처음으로 7000만원을 넘어섰다”며 “연공형 임금체계와 대기업 중심 노동운동으로 지나치게 높아진 대기업 임금을 안정시키고, 고임금 근로자에 대한 과도한 성과급 지급은 자제해야 한다”고 밝혔다.
[서울=뉴시스]
좋아요
0
개
슬퍼요
0
개
화나요
0
개
댓글
0
댓글을 입력해 주세요
등록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
[사설]삼성-애플, 현대차-GM 협력… 新무역질서에서 살아남는 길
폭염에 지하철 냉난방 민원 하루에만 3600건…폭언·협박까지
채상병 특검 “이원모 전 비서관 압수수색”…이종섭 인사 의혹 규명
창 닫기
닫기
댓글
0
뒤로가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