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이 사이버보안 스타트업인 위즈(Wiz)를 320억 달러(46조5000억 원)에 인수하기로 했다고 18일(현지 시간) 밝혔다. 인수 대금 지급은 전액 현금으로 이뤄지며, 거래 종결시 위즈는 구글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부문인 ‘구글 클라우드’에 합류할 예정이다.
이번 인수는 2012년 모토로라 모빌리티(125억 달러) 인수 가격의 2.5배로 구글 설립 이래 최고가 인수로 기록됐다. 구글은 인수 배경에 대해 “인공지능(AI) 시대에 빠르게 성장하는 2개의 큰 트렌드인 클라우드 보안 개선과 ‘멀티 클라우드’ 활용 능력을 가속하기 위한 구글 클라우드 투자를 의미한다”라고 설명했다. 순다르 피차이 구글 최고경영자(CEO)는 “오늘날 많은 기업과 정부는 더욱 강력한 보안 솔루션과 더 많은 클라우드 컴퓨팅 공급업체를 찾고 있다”며 “이번 인수로 클라우드 보안을 개선하겠다”고 강조했다.
‘위즈’는 아사프 레파포트가 2020년 이스라엘에서 설립한 사이버 보안기업으로, 본사는 뉴욕에 있다. 이 회사의 기업가치는 지난해 말 160억 달러로 평가됐다. 이들의 기술은 구글과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MS)를 비롯해 포천(Fortune) 100대 기업 중 절반이 사용 중이다. 이번 인수를 통해 구글이 아마존, MS에 비해 뒤처진 클라우드 분야 경쟁력을 단숨에 끌어올릴 수 있을 것이란 기대가 나오는 이유다.
다만 최종 거래 종결까지는 경쟁 당국의 반독점 심사를 통과해야 한다는 변수가 아직 남아 있다. 앞서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구글의 위즈 인수 협상과 관련해 “트럼프 행정부의 반독점 규제 의지에 대한 시험이자, 다른 기술 기업 인수합병의 잣대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뉴욕타임스도 전문가 발언을 인용해 “우선 규제 장벅을 통과해야 하는데 구글이 이 거래에 대한 당국의 승인을 받을 수 있을지 불확실하다”고 분석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