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대출 작년 2681조… 가계 비중이 절반

  • 동아일보

코멘트

한은 보고서… 1년새 122조 증가
서민 등 정책금융 증가세 뚜렷
356만 가구 빚 상환능력 부족

서울시내 아파트 밀집지역. 뉴시스
서울시내 아파트 밀집지역. 뉴시스
지난해 국내 부동산 대출 규모가 2600조 원을 넘어섰고 이 중 50% 가까이는 가계대출인 것으로 나타났다. 빚을 갚을 능력이 부족한 가구도 356만 가구에 달했다.

한국은행이 27일 발간한 ‘금융안정 상황’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부동산 대출 잔액은 2681조6000억 원으로 추산됐다. 2023년 말보다 4.8%(122조1000억 원) 증가했다. 특히 가계대출이 2023년 말보다 3.6% 늘어난 1309조5000억 원이었다. 전체 부동산 대출액의 48.8%가 가계대출인 셈이다.

상업용 부동산을 비롯한 비주택 담보대출은 줄어들었지만 주택담보대출의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특히 가계대출에서 서민, 신혼부부 등을 위한 주담대 상품인 정책금융 비중이 2020년 말 17.0%에서 지난해 말 23.7%로 급증했다. 한은은 “주담대를 중심으로 가계 부동산 대출이 꾸준히 증가하는 등 일부 부문에서는 잠재 리스크 누적이 여전히 진행되고 있다”며 “부동산 금융이 과도하게 확대되면 경기 부진 시 금융 불안으로 확산할 가능성이 커진다”고 지적했다.

한은은 또 원금과 이자 상환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잠재 고위험 가구’를 356만6000가구로, 이들의 금융부채 규모를 584조3000억 원으로 각각 추산했다. 잠재 고위험 가구란 금융부채를 보유한 가구 중에서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이 40%를 넘거나, 자산대비부채비율(DTA)이 100%를 초과하는 경우를 뜻한다.

특히 수도권 외 지역의 고위험 가구는 60세 이상 고령층 비중이 18.5%로 수도권(5.1%)보다 훨씬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소득 창출 능력이 떨어져 주택 가격 하락 시 원리금 상환 부담이 젊은 세대보다 훨씬 커지게 된다.

김정호 한은 안정총괄팀장은 “미분양이 늘어나고 건설 경기가 부진한 지방 일부 지역에서 고위험 가구가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며 “(대출 부실) 위험이 확대되지 않도록 관련 동향과 정부 정책 효과 등을 면밀히 살펴봐야 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부동산 대출#가계대출#주택담보대출#금융부채#잠재 고위험 가구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