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청소년을 위한 ‘인도네시아 안전모 지원사업’의 안전모 전달식에 참여한 KB손해보험 관계자와 학생들. KB금융그룹 제공
KB금융지주는 기업가치 제고 계획에 따라 사회적 가치를 밸류업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2024년 9월에 발간한 ‘사회적 가치 성과 보고서’에 따르면 KB금융이 사회 분야에서 창출한 가치는 연간 약 2조3800억 원 수준이다. △소상공인·소기업 상생 금융 지원 7470억 원 △중소기업·벤처기업 성장 금융 지원 6439억 원 △고객 정보보안·금융소비자 보호 등 2405억 원을 비롯해 KB금융이 교육부와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는 거점형 늘봄센터 건립을 통한 ‘보육’ 돌봄으로 인해 지난해 642억 원의 가치가 창출되며 사회적 가치의 성장을 견인했다.
KB금융은 지난해 돌봄과 상생을 중심으로 사회공헌 전략을 개편하고 ‘KB국민 함께 프로젝트’란 이름 아래 다양한 사회공헌 활동을 추진한다. 지난해 8월부터는 총 160억 원을 투입해 서울시·부산시 등 전국 주요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소상공인의 출산·육아 환경 개선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KB금융은 주요 지방자치단체와 업무협약을 맺으며 소상공인을 위한 육아와 출산지원 정책을 전국적으로 확장했다. 교육부와 협력해 ‘거점형 늘봄센터’를 구축하며 돌봄 공백 없는 세상을 만드는 데 앞장서고 있다.
KB금융은 자녀 출산 및 양육 지원과 다양한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어린 자녀가 있는 직원들에게는 마음 놓고 일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을 위해 직장 어린이집을 운영하고 있다. 또 학교 입학 자녀를 둔 직원들이 자녀의 원활한 학교생활 적응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해당 직원 중 희망하는 직원은 3월 한 달간 단축 근로를 활용할 수 있다. KB금융은 남성 직원들의 출산휴가, 육아휴직도 적극 권장하고 있다.
KB국민은행은 올해 초 은행권 처음으로 육아퇴직제도를 도입했다. 국민은행의 육아퇴직은 3년 뒤 재채용 조건으로 퇴직을 할 수 있도록 한 제도로 복귀 시에는 퇴사 당시의 직급과 기본급 등이 그대로 유지된다. 육아휴직 2년과 육아퇴직 3년을 모두 사용하면 최대 5년 동안의 육아 기간을 갖게 되는 것이다. 국민은행에 따르면 직원 45명이 재채용을 보장받고 퇴직했다.
KB국민은행은 소상공인 및 소외계층을 위한 금융 지원 등 다양한 상생 활동을 적극적으로 펼칠 계획이다. 지난해 은행권 최대 규모인 총 3721억 원의 민생금융지원방안 프로그램을 이행해 온 KB국민은행은 올해는 소상공인, 청년 등을 돕기 위한 실효성 있는 상생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1월에는 생업으로 바쁜 소상공인을 위해 ‘쉽고 빠르게 이용할 수 있는 상생 금융’을 제공하는 업무협약을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과 맺으며 소상공인 밀착 지원 강화를 위한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KB국민카드는 아동·청소년을 위해 다양한 사회공헌 활동을 진행하고 있다. 장애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미술, 체육, 음악 교육, 소외지역 아동 디지털 교육, 다문화 가정 청소년 한국어 교육, 저소득 아동 소원 성취 지원 캠페인 등을 펼치고 있다. 2015년부터 재단법인 ‘아름다운 동행’과 협력해 초등학교 입학을 앞둔 저소득 가정 아동들을 위해 매년 책가방 선물 세트도 지원하고 있다.
KB라이프생명은 KB라이프생명사회공헌재단을 통해 2001년부터 현재까지 총 1116명에게 약 28억 원의 장학금을 전달해오고 있다. KB캐피탈은 자립준비청년의 자격증 취득 지원사업과 저소득 여성 청소년을 위한 위생용품 지원사업을 펼치며 청년의 안정적인 사회 진출과 성장을 지원하고 있다. KB손해보험은 2022년부터 3년째 아동·청소년을 위한 ‘인도네시아 안전모 지원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KB증권은 글로벌 기업으로서 사회적 책임을 다하고 ESG 경영을 실천하는 기업이 되고자 ‘무지개교실’ 사업을 진행하며 국내외 아동의 교육 및 놀이 환경을 개선하고 있다. 2009년부터 국내 23개소, 해외 13개소 총 36개소의 ‘무지개교실’ 사업을 이어가고 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