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생활건강은 북미와 일본, 중국 등을 중심으로 ‘글로벌 사업 재구조화’에 집중하며 해외 성과에 속도를 내고 있다. 성공 사례를 기반으로 마케팅 활동을 강화하고 온·오프라인 채널에서 주력 브랜드의 영향력을 확대하겠다는 계획이다.
LG생활건강은 미주 시장에서 빌리프, CNP, 더페이스샵 등의 브랜드를 중심으로 젊은 세대의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는 제품을 보강하면서 마케팅에 투자하고 있다. LG생활건강은 지난해 세계 최대 이커머스 플랫폼인 아마존에 진출한 브랜드가 큰 인기를 끌었다. 더페이스샵의 경우 지난해 11월 말 진행된 아마존 블랙프라이데이 행사에서 ‘미감수’ 제품군 매출이 전년 대비 148% 늘었고 CNP 프로폴리스 ‘립세린’은 아마존 ‘립버터’ 카테고리에서 약 6개월간 매출이 1위였다. 빌리프는 히트 상품인 ‘아쿠아 밤’을 잇는 ‘아쿠아 밤 아이 젤’이 좋은 반응을 얻었다.
더페이스샵 미감수. LG생활건강 제공일본 시장에서는 주요 유통 채널에서 브랜드의 영향력을 확대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2023년 하반기에 일본 시장에 선보인 색조 브랜드 VDL과 글린트, 프레시안이 온라인몰에 이어 오프라인 매장까지 진출했다. 구강 관리 브랜드 ‘유시몰’은 지난해 9월 일본 대표 이커머스 채널 큐텐의 ‘메가와리’ 행사에서 ‘일상(日用品·生活) 카테고리’ 누적 판매금액 1위에 올랐다. 이 기간 대표 제품인 ‘퍼플코렉터 치약’의 총 판매 개수는 약 3만5000개였다. 유시몰 전체 브랜드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860% 늘었다. 올해는 색조 브랜드 ‘힌스’, 더마 화장품 CNP를 중심으로 다양한 마케팅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중국에서는 ‘리브랜딩 효과’가 가시화되고 있는 ‘더후’ 브랜드의 수익성 개선에 집중하고 있다. LG생활건강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불황에 빠진 중국 시장에 대응하기 위해 사실상 더후 브랜드만 운영하고 있다. 더후는 지난해 7월 새로운 모델로 배우 김지원을 발탁하며 리브랜딩의 완성도를 높였다. 비첩 자생 에센스는 출시 후 약 16년 만에 판매량이 1000만 병을 넘겼다. 중국 최대 규모 쇼핑 행사인 ‘광군제’에서는 더후가 고급 화장품 부문 판매 1위에 오르기도 했다.
LG생활건강 관계자는 “국내·외 전자상거래 플랫폼에 공격적으로 진출하는 한편 글로벌 고객과의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디지털 콘텐츠를 개발하는 역량도 키워나갈 것”이라면서 “연구개발(R&D) 과정의 혁신과 외부 협업을 강화해 최고의 품질 역량을 보유한 회사로 거듭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