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르웨이 기업 손잡고 해상풍력발전소 건설

  • 동아일보

코멘트

[미래 100년을 이끌 건설 기술]

포스코이앤씨는 기존의 전통 건설업을 벗어나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해상풍력발전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친환경·신재생 미래성장산업을 견인한다는 전략이다.

포스코이앤씨는 2023년 8월부터 해상풍력발전 분야 글로벌 선두 기업인 노르웨이 에퀴노르와 업무협약을 맺고 전문성을 기르고 있다. 세계 최대 부유식 해상풍력발전 사업인 ‘울산 반딧불이’를 비롯해 국내 해상풍력사업에 대한 개발, 건설, 운송 등 전 분야에서 전략적 협력관계를 구축했다. 울산 반딧불이 사업은 울산항에서 70㎞ 떨어진 해상에 발전 용량 750㎿(메가와트)의 부유식 해상풍력발전소를 건설하는 대형 프로젝트다. 이는 연간 약 44만 가구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규모다.

포스코이앤씨는 지난해 에퀴노르가 100% 출자한 ‘반딧불이에너지’와 해상풍력 독점공급합의서(PSA)를 체결했다. 포스코이앤씨는 기본설계를 수행하고 이후 해상에서 생산된 전력을 육상으로 송전하는 케이블의 양육점(발전단지전력을 해저케이블에서 육지로 연결하는 접속설비)과 지중선로, 육상변전소를 지을 계획이다.

대형 해상풍력사업을 위한 전용 선박도 확보한다. 울산 반딧불이 같은 사업에서는 수심 100m 아래에서 공사할 수 있도록 해양 지반 조사선, 해저 케이블 설치선, 앵커 설치운반선 등 특수 선박이 필수적이지만 국내에는 이런 준비가 없기 때문이다.

포스코이앤씨는 국내 해운사인 남성해운과 해상풍력 개발사인 HA에너지와 전략적 업무협약을 맺고 해상풍력사업 전용 선박과 경쟁력 있는 기술을 확보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남성해운은 운송 및 설치 선박을 건조하고 운영한다. HA에너지는 선박 건조를 위한 엔지니어링을 맡는다. 포스코이앤씨 측은 이 협약이 기업과 중견기업 간 해상풍력사업의 상생협력 모델로서 각 사의 전문성과 기술 경쟁력을 바탕으로 상호 간 시너지를 발현해 국내 해상풍력 시장을 선도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세계 해상풍력발전의 누적 용량은 2025년 기준 약 81GW(기가와트)로 이는 원자력발전 약 55기 규모와 유사한 수준이다. 그러나 앞으로 2030년까지 228GW, 2050년까지 약 1000GW로 높은 성장률이 기대되고 있는 산업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를 위해 포스코이앤씨는 세계 최대 해상풍력 국제인증기관인 DNV와 2023년 4월 전략적 협력관계를 맺으며 외연을 넓히고 있다. DNV는 1864년 노르웨이에 설립된 세계 풍력발전 인증 1위 업체다. DNV로부터 고정식 및 부유식 해상풍력 구조물 최적화를 위한 통합하중해석, 인증 절차, 위기관리, 설계자료 품질 제고, 운영비 절감에 대한 노하우를 제공받을 예정이다. 또한 해상풍력사업 동반 참여 방안 등도 모색해 친환경 에너지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포스코이앤씨는 해상풍력사업의 기술 표준 개발과 원가 경쟁력 강화를 위해 그룹사인 포스코와 협업하고 있다. 포스코 강재의 우수성을 활용한 강재 계류 라인 및 자체 부유체 개발 등 독자적 고유 기술개발을 위해 체계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포스코이앤씨 측은 “해외 선진 회사와 협업하며 해상풍력발전 사업을 본격화해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며 “친환경 에너지 전문기업의 교두보를 마련하는 동시에 국내 해상풍력 시장을 선도할 것”이라고 했다.

#미래 100년#건설 기술#포스코이앤씨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