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허제 풀린 2월, 서울은 거래량 47% 늘고 지방은 악성 미분양 최대치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3월 31일 14시 37분


코멘트

서울-지방 부동산 양극화 심화

7일 서울 송파구 시그니엘 서울에서 바라본 잠실 아파트 단지 2025.3.7. 뉴스1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이 전월보다 40% 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잠삼대청’(잠실·삼성·대치·청담동)이 토지거래허가구역에서 풀리면서 부동산 거래가 활발해진 영향이 크다. 다 짓고도 팔리지 않아 악성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은 11년 만에 최대치로 늘었다. 서울과 지방 간 부동산 양극화가 더욱 심해지고 있다.

31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주택 통계에 따르면 2월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4743건으로 전월(3233건) 대비 46.7% 늘었다. 전년 동기의 1.8배 수준이다. 수도권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1만7956건으로 전월 대비 36.8% 증가했다.

이는 학군지 이사 수요가 몰리는 시기에 금리 인하,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가 맞물리면서 해제 지역 위주로 거래량이 늘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1월 14일 한 토론회에 참석해 허가구역 해제를 시사했다. 지난달 13일 잠삼대청을 허가구역에서 풀었다.

이 과정에서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에서 외지인 매수와 전세를 끼고 매수하는 ‘갭투자’가 모두 늘었다. 15억 원이 넘는 고가 아파트 거래도 늘었다. 국토부 실거래가 시스템에 따르면 오 시장이 허가구역 해제를 시사한 1월14일 이후 이달 30일까지 약 2개월 반 동안 거래 신고된 아파트의 28.8%가 15억 원을 초과했다. 직전 2개월 반(지난해 11월 1일~올해 1월 13일) 거래 가운데 15억 원 초과 비중이 24.3%였던 것에 비하면 4.5%포인트 증가한 것이다.

반면 지방 부동산 침체는 깊어지고 있다. 전국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2만3722채로 전월(2만2872채) 대비 3.7% 증가했다. 2013년 10월(2만3306채) 이후 11년 4개월 만에 가장 많은 규모다.

#잠삼대청#토지거래허가구역#아파트#부동산 양극화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