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지난달 19일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에서 주요 현안 관련 기자간담회를 갖고 있다. 2025.3.19 뉴스1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2일 “제청권자인 금융위원장에 (사의) 입장을 표명했다”고 밝혔다. 이 원장은 이날 오전 CBS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공직자가 국민 앞에서 (거취 관련) 약속도 했고, 본의 아니게 권한대행의 국정 운영에 부담드린 것도 있어 책임지는 것이 맞는다고 생각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원장은 앞서 상법 개정안 거부권 행사 반대에 직을 건다고 공언했는데, 1일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거부권 행사를 반대해 거취 의사를 재차 밝힌 것이다.
다만 구체적인 시점은 대통령 탄핵 전후가 될 것으로 보인다. 그는 “(입장 표명 후) 경제부총리, 한국은행 총재 등이 연락을 줘 금융 시장 상황을 언급하며 만류했다”면서 “(탄핵 심판 선고일인) 4월 4일 상황에서 대통령께 입장을 말씀드리는 게 현명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원장의 공식 임기는 6월 6일까지다.
다만 ‘F4 회의’(거시경제·금융 최고 당국자의 비공식 협의체)의 사의 의사 만류와 관련해서 추가 상의할 뜻도 내비쳤다. 그는“3일 ‘F4 회의’에 안 갈 수 없는 상황이고 상호관세 이슈, 역외 환율 등 금융시장을 봐야 할 것 같다”면서 “시장 관리 메시지, 대응 방안을 말하고 (거취와 관련해) 저희끼리 얘기해 봐야 할 것 같다”고 덧붙였다.
이 원장은 “상호관세 이슈가 4월 2일(미국 현지 시간) 지난다고 해서 한 번에 끝날 것은 아니다”면서 “미국의 조치와 유럽연합(EU) 등 상대국의 입장, 홈플러스 현안 등 본의 아니게 검사, 조사권 행사해야 하는 상황 등이 있다”고 부연했다.
상법 개정안이 좌초됐지만 야당에선 정부 자본시장법 개정안 발의 등을 통한 보완 입법을 주문했다. 그는 “똑같은 안을 올릴 게 아니라 정무위에서 법사위 갈 한두 달만 여유를 갖고 기다려 달라”고 말했다.
삼부토건 조사와 관련해서는 “관심도가 높아 꼼꼼히 봤고 지금 진행 상황에서는 4월 안에 마무리될 수 있을 것”이라고 단언했다. 김건희 여사와 관련해 조사에서 나온 게 있느냐는 질문에는 “절차에 따라 볼 수 있는 것을 보려고 한다”고 설명했다.
3월 31일 재개된 공매도와 관련해서는 “(공매도는) 무조건 존재해야 한다”면서 “유동성을 풍부하게 만들어 내가 주식을 팔 때 주가가 떨어지는 악영향 등을 막을 수 있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