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금융사들이 투자한 해외 부동산의 부실 우려가 커지고 있다. 경기 부진에 따른 오피스 시장의 공실로 그 규모는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9월 말 기준 금융사의 해외 부동산 투자 중 부실 우려가 있는 사업장 규모는 2조6400억 원으로 집계됐다. 금융사가 투자한 단일 사업장(부동산) 34조3000억 원 중 2조6400억 원(7.71%)에서 기한이익상실(EOD)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3분기에만 EOD 규모가 400억 원 늘어나는 등 EOD 규모는 계속 확대되고 있다. 이 가운데 올해 12조 원(21.5%), 2030년까지 42조5000억 원(76.2%)의 만기가 도래한다.
이 같은 부진을 반영해 금융권의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잔액은 55조8000억 원으로 전 분기 대비 5000억 원 감소했다. 금융권별로는 보험사들의 투자 잔액이 30조4000억 원(54.3%)으로 가장 많았으며, 은행 12조 원(21.5%), 증권 7조7000억 원(13.8%), 상호금융 3조6000억 원(6.5%) 등이 그 뒤를 이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북미가 34조1000억 원(61.1%), 유럽 10조8000억 원(19.4%), 아시아 3조8000억 원(6.8%) 순이었다.
금감원은 특이 동향이 발생했거나 위험이 크고 손실률이 높은 사업장 등을 중심으로 리스크 관리를 이어갈 계획이다. 금감원은 통화정책 긴축 완화에도, 미국 대선 전후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 증대 등으로 해외 부동산 시장의 개선이 지연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국내 금융회사는 오피스 투자자산을 중심으로 손실 확대 가능성이 높다”며 “다만, 투자 규모가 크지 않고 손실흡수능력도 충분해 시스템 리스크로 전이될 가능성은 작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