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오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모니터에 코스피 종가가 2300선으로 표시돼 있다. 이날 코스피는 개장과 함께 100포인트 넘게 빠지며 출발한 뒤 오전 한때 매도 호가를 5분 동안 정지시키는 사이드카도 발동됐다. 박형기 기자 oneshot@donga.com
글로벌 관세 전쟁 쇼크에 투자자들이 역대급 투매에 나서면서 한국, 일본, 중국, 대만, 홍콩 등 아시아 증시가 쑥대밭이 됐다. 2020년 팬데믹 이후 최악의 폭락이란 평가가 나온다. 미국, 중국, 유럽연합(EU) 의 ‘강 대 강 대치’에 시장의 공포가 팬데믹 쇼크 수준에 달한 것이다.
7일 코스피는 전일 대비 137.22포인트(5.57%) 빠진 2,328.20에 거래를 마쳤다. 올해 첫 개장일인 1월 2일(2,398.94) 이후 3개월여 만에 2,400 선을 내줬다. 오전 9시 12분쯤 코스피의 낙폭이 커지면서 지난해 8월 이후 처음으로 매도 사이드카가 발동하기도 했다. 사이드카는 증시 급변동을 방지하기 위한 제도로, 코스피200 선물 지수가 5% 이상 변동하면 기관투자가나 외국인이 주식을 대량으로 사고팔 때 쓰는 프로그램 매매를 5분간 중단하게 된다. 코스닥도 이날 5.25% 하락한 651.30에 마감했다.
중국의 관세 보복전 참전 선언 이후 첫 개장일인 이날 중국이나 홍콩 등 중화권 증시 낙폭은 더 컸다. 4일 청명절 연휴로 휴장한 만큼 미국의 관세 인상 악재가 한꺼번에 반영된 영향이 컸다. 중국 본토 주요 상장사로 이뤄진 홍콩H지수는 14% 가량 빠졌고, 상하이종합지수는 7%대, 선전종합지수는 10%대 내림세를 나타냈다. 역시 4일 휴장했던 대만 자취안지수도 장 시작과 동시에 20,000 선이 무너졌는데, 이는 지난해 8월 이후 처음이다. 최종적으로 9.70% 내린 19,232.35에 장을 마감했다. 일본의 닛케이평균주가도 7.83% 내린 31,136.58에 거래를 마감하는 등 아시아 증시 전반적으로 약세를 나타냈다.
주요 투자 자산들도 맥을 추지 못했다. 최우선 안전자산으로 주목받으면서 고공 행진하던 금 현물 시세는 1온스(oz)당 2000달러대까지 떨어지는 등 미국의 상호관세 발표 이후 4% 넘게 빠졌다. 비트코인 등 가상자산 가격도 폭락세를 보였고, 산업 활동을 반영해 글로벌 경기의 바로미터로 꼽히는 국제 유가나 원자재 가격도 추락해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를 반영했다.
박상현 iM증권 연구원은 “미국의 관세 인상에 대한 충격과 이에 따른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면서 주요 자산 가격이 모두 하락했다”라며 “당장 주요국 간의 관세 협상 가능성도 높지 않기 때문에 당분간 조정 또는 약세장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