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산 저가 공습에 맞서… 삼성-LG, ‘AI TV’로 선전포고

  • 동아일보

코멘트

‘프리미엄 TV’ 고부가 시장 지키기
사용자 취향에 맞춘 콘텐츠 추천
실시간 번역-화질 등 최적화 기능
양사, 국내 OLED 주도권 신경전도

삼성전자의 네오 퀀텀닷발광다이오드(QLED) 초대형 모델인 115형 TV. 삼성전자는 7일 2025년형 TV 신제품을 공개하며 인공지능(AI) TV로 프리미엄 시장을 공략하겠다고 밝혔다. 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의 네오 퀀텀닷발광다이오드(QLED) 초대형 모델인 115형 TV. 삼성전자는 7일 2025년형 TV 신제품을 공개하며 인공지능(AI) TV로 프리미엄 시장을 공략하겠다고 밝혔다. 삼성전자 제공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중국산 저가 TV 공습에 맞서 ‘인공지능(AI)’ TV로 반격에 나섰다. 사용자 취향에 맞춘 콘텐츠 추천과 화질 및 사운드 자동 보정, 실시간 번역 등 다양한 AI 기능을 담은 프리미엄 TV로 고부가 시장을 수성하겠다는 전략이다.

삼성전자는 7일 서울 서초구 삼성강남에서 신제품 출시 행사 ‘언박스&디스커버 2025’를 개최하고 AI TV 신규 라인업을 공개했다. 삼성전자는 AI TV 라인업을 지난해 9개 시리즈 34개 모델에서 올해 14개 시리즈 61개 모델로 늘렸다. 기존에는 AI TV를 네오 퀀텀닷발광다이오드(QLED) 및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등 최상위 제품군에서만 도입했는데 중상급인 QLED, 더프레임으로 범위를 넓혔다.

용석우 삼성전자 영상디스플레이부사업부장(사장)은 “올해 (판매) 수량이 늘기 힘들 것이라고 예상하지만 프리미엄 중심으로 점유율을 올릴 것”이라고 말했다. 임성택 삼성전자 한국총괄 부사장은 “올해 풀 라인업이 갖춰졌고 비전 AI와 같은 막강한 기능이 탑재돼 승산이 있다”고 했다.

비전 AI는 TV가 사용자의 취향이나 의도를 파악한 뒤 개인화된 경험을 제공하는 기술이다. 삼성전자 AI TV는 콘텐츠 추천, 실시간 번역, 화질·사운드 최적화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LG전자의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TV를 통해 인공지능(AI) 챗봇 기능을 사용하는 모습. LG전자는 2025년형 OLED TV를 이번 달부터 유럽 8개국에 출시한다고 7일 밝혔다. LG전자 제공
LG전자의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TV를 통해 인공지능(AI) 챗봇 기능을 사용하는 모습. LG전자는 2025년형 OLED TV를 이번 달부터 유럽 8개국에 출시한다고 7일 밝혔다. LG전자 제공
LG전자는 이날 국내, 북미에 이어 유럽에서 AI 기능을 강화한 2025년형 OLED TV를 본격 출시했다. LG전자는 이달부터 영국, 독일, 스위스, 헝가리 등 8개국에서 OLED TV 신제품을 판매하기 시작했다.

LG전자는 차별화된 ‘5대 AI 기능’을 앞세워 프리미엄 TV 리더십을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AI TV 신제품에는 시간대별 사용 패턴을 분석해 ‘축구 하이라이트 시청’ ‘게임 콘솔 연결’ 등 맞춤형 키워드를 제안하는 ‘AI 컨시어지’, 사용자 취향에 맞춰 화면과 사운드를 설정해주는 ‘AI 맞춤 마법사’와 같은 기능들이 지원된다.

한편 국내 OLED TV 시장의 주도권을 두고 삼성과 LG 간에 ‘신경전’이 벌어지기도 했다. 삼성전자 측은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업계 최고 수준인 삼성 OLED TV가 올해 한국에서 1등을 할 것”이라며 “77인치 이상은 (삼성전자의) 국내 점유율이 60%”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LG전자는 “삼성전자가 밝힌 데이터는 LG베스트샵과 구독 판매량이 반영되지 않아 실제와 차이가 있다”며 “가전 유통업계를 통해 파악해 보면 실제 판매량은 올 1∼3월 삼성이 LG의 3분의 1 수준”이라고 반박했다.

#중국산 저가 공습#삼성전자#LG전자#AI TV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