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월부터 생산되는 ‘산청딸기’는 수정벌을 활용한 자연수분 방식에 자연 친화적인 환경에서 자란다. 또한 열매가 익는 기간이 타 지역에 비해 1∼2일 정도 더 소요돼 당도가 높고 과육이 단단해 오래 유지되는 신선함으로 소비자에게 호평을 받고 있다. 800여 농가 430㏊에서 연간 1만7000t이 생산돼 1400억 원의 소득을 기록하며 산청군의 대표 효자 작물로 자리 잡았다. 대부분의 농가가 GAP(농산물우수관리) 인증을 획득했으며 고설(수경) 재배 시설이 많아 청정 환경에서 생산된다. 이는 토경 재배보다 출하 시기가 한 달 정도 빠르고 생산량도 많다.
지리산이라는 천혜의 자연조건을 안고 있는 경남 산청은 경호강, 덕천강, 양천강 등 3대 강의 발달로 자연적으로 형성된 충적토라는 지리적 특성을 갖추고 있다. 지리산 골바람의 영향으로 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에는 따뜻한 기후 조건을 갖춰 저온성 작물인 딸기 생육에 아주 적합한 환경 조건을 갖추고 있다.
산청딸기 품종은 설향이 70%, 장희가 25%를 차지한다. 특히 산청에서 가장 먼저 생산되는 장희 품종은 신맛이 거의 없고 당도가 높아 소비자에게 인기를 끌면서 시장에서 높은 가격을 받는다. 그 외에도 경남농업기술원에서 육성한 금실 딸기가 재배되고 있으며 생산량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산청군은 전국 대표 농산물로 자리매김한 산청딸기의 명성을 이어가기 위해 산엔청농업인대학에 딸기반을 운영해 전문 재배 기술을 교육하고 있다. 또한 딸기 재배 시설 현대화 사업 및 스마트팜·수경재배 시설 지원 사업과 신기술·신품종 보급 사업을 펼치고 있다.
또 산청의 상징인 ‘산엔청’ 공동 브랜드를 지속적으로 홍보해 산청딸기의 이미지를 높여 국내를 넘어 세계시장을 상대로 유통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