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기록 제조기’ 삼성바이오로직스 창립 14주년… “3대축 기반 성장 가속”

  • 동아경제
  • 입력 2025년 4월 21일 18시 17분


코멘트

3대축 ‘생산능력·포트폴리오·글로벌 거점’
“신기록 새로 쓰면서 세계 최대 CDMO 자리매김”
작년 연매출 4조 이어 올해 5조 원 돌파 전망
생산능력 현행 78만4000리터→132만4000리터 목표
14년간 임직원 110명→5000명… 누적 수주 23조 원
존림 대표 “성장 가속화해 인류의 더 나은 삶 실현시킬 것”

삼성바이오로직스 4공장 전경
세계 최대 바이오 위탁개발생산(CDMO) 기업으로 자리매김한 삼성바이오로직스가 21일 창립 14주년을 맞았다. 올해는 생산능력과 포트폴리오, 글로벌 거점 등 3대축을 중심으로 각 분야 확장 전략에 속도를 내 글로벌 톱티어 바이오기업으로 성장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지난 2011년 4월 21일 인천 송도에 설립됐다. 삼성그룹이 5대 신수종 사업 중 하나로 선정한 바이오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출범했다.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CDMO 시장에 후발주자로 진입했지만 신속한 생산능력 확보와 높은 품질 경쟁력을 앞세워 업계 선도기업으로 빠르게 올라섰다. 설립 초기 110여명에 불과했던 임직원 수는 현재 약 5000명 규모로 늘어났다.

총 생산능력은 78만4000리터로 글로벌 1위에 해당한다. 창립 이래 글로벌 규제기관으로부터 획득한 제조 승인 건수는 350건을 돌파했다. 실사 통과율의 경우 업계 최고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한다. 압도적인 생산능력과 탁월한 품질 경쟁력을 바탕으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글로벌 제약사들로부터 높은 신뢰를 얻고 있기도 하다. 창립 이후 작년 말까지 위탁생산(CMO) 제품은 총 99건, 위탁개발(CDO) 제품 총 133건의 수주를 달성했다. 누적 수주액은 163억 달러(약 23조987억 원)에 달한다.
삼성바이오로직스 제2바이오캠퍼스 조감도
작년에는 1조 원 규모 대형 계약 3건을 체결해 창립 이후 처음으로 연간 수주 5조 원을 돌파했다. 올해 1월에는 역대 최대 규모인 2조747억 원 규모 수주에 성공했다. 현재 글로벌 상위 20개 빅파마 중 17곳을 고객사로 확보하고 있다. 수주 성과에 힘입어 매출도 고속 성장이 이어지고 있다. 창립 9년 만인 지난 2020년에는 연매출 1조 원을 돌파했고 2022년에는 국내 제약·바이오업계 최초로 연매출 3조 원을 기록했다. 작년에는 4조 고지를 넘어섰다. 상승세는 현재진행형이다. 올해 역시 전년 대비 20~25% 성장해 연매출이 5조 원을 돌파할 전망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생산능력과 포트폴리오, 글로벌 거점 등 3대축 확장을 중심으로 성장을 가속화한다는 방침이다. 5공장 가동을 계기로 제2바이오캠퍼스 시대를 선포한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오는 2032년까지 5공장과 동일한 규모 공장 3개를 추가로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8공장 완공 시 삼성바이오로직스 총 생산능력은 132만4000리터로 압도적인 규모를 갖추게 된다.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포트폴리오 다각화도 적극적으로 추진 중이다. 지난달 차세대 항암제로 떠오르고 있는 항체·약물접합체(ADC) 의약품 생산을 위한 전용 생산시설 가동에 돌입했고 향후 세포·유전자치료제(CGT) 등 신규 모달리티 투자를 지속할 예정이다.

해외 거점 확대도 순항 중이다. 미국 뉴저지와 일본 도쿄 등에 영업사무소를 운영하고 있고 전 세계 주요 고객사와 접점 강화를 꾀하고 있다.
존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이사
지속가능경영 분야에서도 업계를 선도하고 있다. 글로벌 평가기관인 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CDP)로부터 수자원 관리 분야 상위등급(리더십)을 획득했고 다우존스지속가능경영지수(DJSI) 월드지수에 4년 연속 편입되기도 했다. 영국 왕실 주도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지속가능시장이니셔티브(Sustainable Markets Initiative)에서는 존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가 직접 헬스 시스템 태스크포스(TF) 공급망 분야 의장을 맡고 있다.

존림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이사는 “지난 14년간 삼성바이오로직스는 글로벌 고객사에 최고의 품질과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CDMO 시장을 선도해왔다”며 “앞으로도 선제적인 투자를 지속해 경쟁력을 더욱 높이고 인류의 더 나은 삶에 기여한다는 기업 비전을 실현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