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1일 서울 서초구 JW메리어트호텔에서 열린 ‘KDS2010(티솔라질린) 글로벌 롱제비티 비전 및 파트너십 포럼’에서 이창준 기초과학연구원 연구단장(좌측 2번째)과 장준연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부원장(좌측 4번째), 김상욱 뉴로바이오젠 대표(좌측 6번째), 헨리 지 사이렉스 홀딩 회장(우측 4번쨰), 장영우 바이오오픈이노베이션진흥회 회장(우측 3번째) 등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뉴로바이오젠
혁신 신약 전문개발 기업 뉴로바이오젠㈜(대표 김상욱)은 지난 21일 서울 서초구 JW메리어트호텔에서 미국 제약사 ‘사이렉스 바이오(Scilex Bio Inc.)’, ‘바이오오픈이노베이션진흥회(BOIMA)’와 함께 ‘KDS2010(티솔라질린) 글로벌 롱제비티 비전 및 파트너십 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포럼은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기초과학연구원(IBS),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단(KDRC), 상운의료재단, ㈜C&R Research, ㈜큐어버스, 제주대학교 등 과학∙의료계 인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장준연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부원장의 축사로 시작됐다.
장 부원장은 20년간 뇌과학 분야에 전념해 온 시간을 회상하며 “그간 쌓인 노고의 결실이 오늘 이자리를 만들었다”며 소감을 밝혔다. 하연순 바이오오픈이노베이션진흥회 및 금곡학술문화재단 이사장은 “이 자리에서 진행될 KDS2010을 둘러싼 다양한 논의들은 반드시 병을 치료하는 것을 넘어서 생명의 온전함과 인간의 존엄을 회복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확신했다.
이어 김상욱 뉴로바이오젠 대표가 티솔라질린(KDS2010) 기술 이전 계약 체결 경과를 보고했다. 김 대표는 “‘사이렉스 홀딩(SCILEX Holding Company, SCLX)’과 사이렉스 바이오(Scilex Bio Inc.)는 티솔라질린의 빠른 개발과 상업화를 이끌어 낼 수 있는 가장 적합한 파트너”라고 말했다. 사이렉스와 기술 이전 계약을 체결한 이유에 대해선 사이렉스가 다양한 임상 개발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과 NDA(신약허가신청) 승인 후 출시 및 판매 중인 세 개의 제품이 있다는 점, 꾸준한 매출을 올리고 있는 마케팅 및 영업 능력이 있다는 점 등을 꼽았다.
지난 21일 서울 서초구 JW메리어트호텔에서 열린 ‘KDS2010(티솔라질린) 글로벌 롱제비티 비전 및 파트너십 포럼’에서 김상욱(우측) 뉴로바이오젠 대표와 헨리 지(가운데) 사이렉스 홀딩 회장, 장영우(좌측) 바이오오픈이노베이션진흥회 회장이 티솔라질린의 빠른 개발 및 허가, 전략적인 글로벌 상업화에 대한 MOU(양해각서)를 체결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제공-뉴로바이오젠또한 김 대표는 척수 손상이나 뇌졸중 등 티솔라질린이 확장될 수 있는 적응증들을 언급해 티솔라질린이 지닌 가치를 부각했다. 이어 뉴로바이오젠, 사이렉스 바이오, 바이오오픈이노베이션진흥회는 기술 이전 협약을 기반해 티솔라질린의 빠른 개발 및 허가, 전략적인 글로벌 상업화에 대한 MOU(양해각서)를 체결했다.
헨리 지 사이렉스 홀딩 회장은 이날 행사에서 “이윤 증대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원동력’이다. 사이렉스를 움직이게 하는 원동력이자 궁극적인 목표는 인류의 수명 연장에 기여해 100세 시대를 150세 시대로 만드는 것”이라며 “티솔라질린을 잘 개발해 허가 후 출시되면 1~2년 내 투자금 이상의 수익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 본다”고 평가했다.
장영우 바이오오픈이노베이션진흥회 회장은 “티솔라질린은 단일 질환의 치료를 넘어 뇌의 노화와 신체의 노화를 동시에 조절하는 잠재력을 지녔다”며 “사이렉스는 이미 FDA 승인을 받은 세 개의 의약품을 보유하고 있고, 미국 전역의 병원 의사들과 협력하고 있는 상업화 조직을 갖추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창준 기초과학연구원 연구단장은 뇌 안에서의 ’MAO-B(모노아민 산화효소 B)’의 역할과 알츠하이머 치매 및 비만에 대한 티솔라질린의 작용 기전을 해석했다. 또한 티솔라질린이 ’tonic GABA(지속성 가바)’에 의한 활성산소의 생성을 근원적으로 억제해 뇌의 염증 제거 및 기능 재생을 돕는다는 게 이 단장의 설명이다. 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신체 기능 회복과 노화 억제의 플랫폼이 될 수 있는 티솔라질린의 잠재적 가치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티솔라질린(KDS2010)은 과기정통부와 보건복지부가 공동으로 주관하는 치매극복연구개발사업 지원을 받아 임상 1상을 완료하고 임상 2상을 진행 중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