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2월 국내은행의 대출 연체율이 6년 3개월만에 최고치로 올랐다. 중소기업 연체율이 상대적으로 크게 증가하며 전체 연체율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5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2월 말 기준 국내은행의 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를 기준으로 한 원화대출 연체율은 0.58%로 전월 말 대비 0.05%포인트 상승했다. 지난해 같은 달과 비교해서도 0.07%포인트 증가했다. 2018년 11월(0.60%) 이후 6년 3개월 만의 최고치다.
2월 중 신규연체 발생액은 2조9000억원으로 전월 대비 3000억 원 감소했다. 연체채권 정리 규모는 1조8000억 원으로 같은 기간 8000억원 늘었다.
부문별로 보면 중소법인과 개인사업자대출 연체율이 상대적으로 더 크게 올랐다. 대기업대출 연체율은 0.10%로 전달 말보다 0.05%포인트 상승한 데 비해 중소기업대출 연체율은 0.84%로 같은 기간 대비 0.07%포인트 올랐다. 이 중 중소법인 연체율은 0.90%, 개인사업자대출 연체율은 0.76%로 전월 대비 각각 0.08%포인트, 0.06%포인트 상승했다.
금감원은 “신규연체가 감소하고 정리 규모가 늘었음에도 불구하고 연체율이 전월에 이어 또 상승했다”며 “중소법인·개인사업자 등 중소기업 연체율이 상대적으로 크게 늘며 은행권 연체율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가계대출은 연체율은 0.43%로 전월 말과 유사했다.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0.29%로 전월 말 수준을 유지했다. 주택담보대출을 제외한 가계대출(신용대출 등)의 연체율은 0.89%로 0.05%포인트 올랐다.
금감원은 “향후 신용위험 확대 가능성 등에 대비해 충분한 손실흡수능력을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한편, 적극적인 연체·부실채권 상·매각 등을 통해 자산건전성 관리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