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4월 월평균 제조업 취업자 수는 439만5000명으로 집계됐다. 전체 취업자 중 제조업 취업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15.5%로, 산업분류가 개편된 2013년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20%를 웃돌던 제조업 취업자 비중은 2000년대 중반 이후 16∼17%대를 유지하다가 코로나19 이후 본격적으로 하락하기 시작했다. 연간 기준 2023년 처음으로 16%를 밑돌았고 지난해에도 15.6%로 하락세를 이어갔다. 올해 들어서도 1월 15.8%, 2월 15.6%, 3월 15.4%, 4월 15.2% 등 매월 비중이 낮아지고 있다. 지난달 제조업 취업자 수는 1년 전보다 12만4000명 줄면서 6년 2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제조업 고용 부진은 고용 유발 효과가 낮은 반도체에 집중된 산업구조의 영향이 크다.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에 따르면 반도체 산업의 취업 유발 계수는 2.1로 전체 제조업(6.2)의 3분의 1에 불과하다. 여기에 대내외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전반적으로 신규 채용을 미루는 양상이다. 1∼4월 제조업 취업자 중 20대가 차지하는 비중은 10.6%로 역대 최저였다.
미국 관세 정책의 영향이 본격화되면서 제조업 고용 지표는 더욱 악화할 가능성이 있다. 양준석 가톨릭대 경제학과 교수는 “구조적으로 제조업의 고용 창출은 한계에 다다른 상황”이라며 “민간을 중심으로 부가가치가 높은 서비스 분야를 육성하는 등 근본적인 개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내수 부진이 길어지면서 자영업자 수도 1년 전보다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달 자영업자 수는 전년 동월 대비 6000명 줄어든 561만5000명으로 집계됐다. 자영업자 수는 올 1월 2만8000명 줄어든 데 이어 2월(―1만4000명), 3월(―2000명), 4월(―6000명)까지 4개월 연속 감소했다.
특히 직원을 둔 자영업자가 지난해 10월부터 7개월 연속 줄었다. 고용원이 없는 자영업자가 최근 3개월 연속 증가한 것과 대조적이다. 경기 악화로 자영업자들이 가게 규모를 확장하거나 직원을 새로 채용하는 대신 ‘나 홀로’ 사장님으로 돌아서는 경우가 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