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주권’ 글로벌 경쟁속 계획 밝혀
“대만정부-TSMC-폭스콘과 협력”
설계부터 운영까지 현지화 전략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19일(현지 시간)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린 ‘컴퓨텍스 2025’ 행사에서 기조연설을 하고 있다. 타이베이=AP 뉴시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19일 “대만 정부와 TSMC, 폭스콘과 협력해 대만 최초의 대형 인공지능(AI) 슈퍼컴퓨터를 구축하겠다”고 발표했다.
황 CEO는 이날 대만 타이베이 뮤직센터에서 열린 ‘컴퓨텍스 2025’ 기조연설에서 “대만의 AI 인프라와 생태계를 위한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이를 두고 “전 세계적으로 AI를 둘러싼 주권(다툼)이 떠오르고 있는 데 대한 것”이라고 보도했다.
슈퍼컴퓨터는 국가의 과학·기술·산업·안보 역량을 끌어올리기 위한 최첨단 컴퓨팅 시스템이자 국가 단위 프로젝트다. 이번 AI 슈퍼컴퓨터 인프라 구축에는 엔비디아와 폭스콘, TSMC, 대만의 국가과학기술위원회(NSTC) 등 정부와 기업이 모두 참가한다. 이를 통해 AI 칩 설계부터 패키징, 서버, 통합 운영까지 모두 현지화한다는 전략이다.
황 CEO는 “TSMC는 이미 막대한 양의 과학 및 AI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폭스콘은 로보틱스 분야에서 대규모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며 “대만 현지에서 세계적 수준의 AI 인프라를 갖춘다는 것은 매우 중요하고 이것은 교육, 과학, 기술 발전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황 CEO는 기조연설 도입부에서 “대만은 AI 혁명의 중심에 있으며 가장 중요한 많은 공급업체가 기반을 두고 있는 곳”이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황 CEO는 이날 기조연설에서 슈퍼컴퓨터에 탑재될 ‘NV링크’와 블랙웰 아키텍처도 공개했다. NV링크는 중앙처리장치(CPU)가 없이도 GPU끼리 통신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이다. 황 CEO는 “이 시스템은 (대만의) 페가트론, QCT, 폭스콘, 기가바이트, 에이수스 등 파트너들이 만든 것”이라며 “궁극적 목표는 블랙웰 칩을 통해 대만의 AI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