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수산부
‘2025 서울헬스쇼’에서 부스 운영… 3일간 1000명 방문해 이벤트 참여
QR코드 체험하면 멸치 등 선물… 원산지-생산지-유통 경로 확인
‘수산물이력제’ 홍보 효과 톡톡
지난 13∼15일 사흘간 서울광장에서 진행된 서울헬스쇼 ‘수산물이력제’ 홍보 부스에 많은 방문객들이 다녀갔다. 해양수산부 제공
《지난주 서울시청 앞 서울광장에서 열린 ‘2025 서울헬스쇼’에서 수산물이력제 홍보 부스가 3일간 운영돼 약 1000명의 시민이 방문하는 성과를 거뒀다. 이번 행사는 해양수산부가 국민과 정책의 접점을 마련하고 수산물이력제의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기획했으며 QR코드 체험과 SNS 구독 이벤트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진행됐다.》
수산물이력제 홍보 부스 운영 개요
지난 13∼15일 사흘간 서울광장에서 진행된 서울헬스쇼에 수산물이력제 홍보 부스가 설치됐다. 3X3m 크기의 부스에는 총 7명의 인력이 투입돼 방문객들에게 수산물이력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직접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했다.
부스는 첫날 오전 10시부터 정식 운영에 들어갔다. 오전에는 주로 리플릿 배부를 중심으로 홍보 활동이 이뤄졌으며 오후에는 QR코드 체험 이벤트와 구독 이벤트 등 시민 참여형 프로그램이 진행됐다. 특히 오후 2∼3시에 진행된 QR코드 체험 이벤트에서는 멸치를 증정하는 행사가, 오후 4∼5시에는 채널 구독 이벤트를 통해 백화점 상품권을 증정하는 행사가 열렸다.
수산물이력제 QR코드 체험 이벤트 성황
수산물이력제는 수산물의 생산부터 유통, 판매까지의 모든 과정을 추적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로 소비자가 구매하는 수산물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번 행사는 일반 시민들에게 수산물이력제의 중요성과 사용 방법을 직접 체험하게 함으로써 정책에 대한 친근감과 인지도를 높이고자 기획했다.
부스 방문자들은 수산물 포장지에 부착된 QR코드를 직접 스마트폰으로 스캔해 수산물이력제 홈페이지에 접속하는 체험을 통해 수산물의 원산지, 생산 정보, 유통 경로 등을 확인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었다. 소비자들이 일상에서 쉽게 수산물이력제를 활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효과적인 교육의 장이 됐다.
QR코드 체험 이벤트는 3일간 700명이 참여하는 높은 호응을 얻었다. 참가자들은 볶음용 멸치 200g을 경품으로 받았는데 준비된 700세트가 모두 소진될 정도로 큰 관심을 받았다.
한 직장인 참가자는 “처음에는 경품 때문에 참여했는데 생각보다 유용한 정보가 많아서 놀랐다. 앞으로 수산물 살 때 QR코드를 확인하면 원산지나 생산 정보를 쉽게 알 수 있다니 안심이 된다”라고 말했다. 그는 “아이들도 먹는 식품이라 안전성이 특히 중요한데 이런 제도가 있다는 것을 처음 알게 돼 유익했다”고 덧붙였다.
수산물이력제의 온라인 홍보를 강화하기 위해 인스타그램 구독 이벤트도 함께 진행했다. 참가자들은 엑스배너 속 수산물이력제 로고를 촬영하고 ‘#수산물이력제 #안심이력’ 해시태그와 함께 게시물을 업로드한 후 수산물이력제 인스타그램을 팔로우하면 백화점 상품권을 받을 수 있었다. 3일간 총 150명이 참여했으며 준비된 상품권 150개가 모두 소진됐다.
한 대학생 참가자는 “SNS 이벤트를 통해 수산물이력제 계정을 팔로우했는데 생각보다 유익한 정보가 많았다. 특히 계절별 제철 수산물 정보나 원산지에 따른 품질 차이 같은 콘텐츠가 실생활에 도움이 될 것 같아 앞으로도 관심 있게 지켜볼 생각”이라고 소감을 밝혔다.
전문적 부스 운영으로 효과적인 정책 홍보
이번 행사에서는 운영 인력 7명이 투입돼 전문적인 부스 운영이 이뤄졌다. 인포데스크와 3단 쇼케이스 진열대를 활용해 방문객들에게 수산물이력제 관련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했으며 정책 소개 리플릿 1000부를 배포해 방문객들이 가져갈 수 있도록 했다.
부스 운영 담당자는 “처음에는 수산물이력제가 생소한 정책이라 시민들의 관심을 끌기 어려울 것으로 예상했는데 막상 QR코드 체험 프로그램을 진행해 보니 반응이 매우 좋았다. 특히 중장년층 방문객들이 직접 스마트폰으로 QR코드를 찍어보면서 ‘이런 제도가 있었네’ ‘앞으로 꼭 확인해 봐야겠다’는 반응을 보여 보람을 느꼈다”라고 말했다. 그는 또 “향후 더 많은 소비자가 수산물이력제를 일상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홍보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수산물이력제, 소비자 신뢰와 안전 확보의 핵심
수산물이력제는 최근 식품 안전에 대한 소비자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수산물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하는 중요한 정책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생산 단계부터 판매 단계까지 모든 유통 과정의 정보를 기록하고 관리함으로써 문제 발생 시 신속한 원인 규명과 조치가 가능해져 소비자 보호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특히 이번 행사에서 진행된 QR코드 체험과 SNS 구독 이벤트는 소비자들이 직접 수산물 이력을 확인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는 기회였다.
이러한 오프라인 행사는 정책과 국민 사이의 접점을 만들고 정책에 대한 인지도와 활용도를 높이는 데 큰 역할을 한다. 특히 직접 체험을 통한 학습은 정책의 필요성과 효용성을 몸소 느끼게 해 수용성을 높이는 데 효과적이다.
효과적인 정책 홍보의 모델 제시
서울헬스쇼에서의 수산물이력제 홍보 부스 운영은 국민들에게 수산물 구매 시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확인하는 방법을 알리고 정책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인식시키는 기회가 됐다. 특히 오프라인 체험과 온라인 홍보를 연계해 단기적인 효과뿐 아니라 장기적인 정책 홍보 효과까지 고려한 전략적 접근이 돋보였다. 이러한 양방향 소통 방식의 정책 홍보는 앞으로 다른 정책 홍보에서도 벤치마킹할 수 있는 모델이 될 것으로 평가된다.
해양수산부는 앞으로도 다양한 채널과 방법을 통해 수산물이력제에 대한 지속적인 홍보와 교육을 실시할 계획이며 이를 통해 더 많은 소비자가 안심하고 수산물을 구매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기대된다.
수산물이력제가 더 많은 소비자에게 알려지고 일상에서 활발하게 활용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수산물 소비에 대한 신뢰성 제고와 국내 수산업의 경쟁력 강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