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차원 디지털지도로 침수-방범 취약지역 예측

  • 동아일보
  • 입력 2025년 5월 22일 03시 00분


코멘트

서울시
디지털 트윈 기반 ‘에스맵’… 환경 영향 등 실시간 검토
침수 위험 지역 알려주고, 순찰 최적 경로 자동 생성

서울시가 자체 개발한 3차원 디지털지도 ‘에스맵’. 서울시 제공
서울시가 자체 개발한 3차원 디지털지도 ‘에스맵’. 서울시 제공
서울시가 자체 개발한 3차원 디지털지도 ‘에스맵’이 스마트시티 서울의 핵심 플랫폼으로 빠르게 정착하고 있다. 2020년 디지털 트윈 기술 기반으로 출범한 에스맵은 단순한 지도 서비스를 넘어 행정 혁신과 시민 참여를 이끄는 디지털 실험실로 진화하고 있다.

3D 시뮬레이션으로 도시계획 심의

‘에스맵’ 침수 취약 지도.
‘에스맵’ 침수 취약 지도.
서울시는 2020년 전국 최초로 도시계획위원회에 3D 스마트 회의 시스템을 도입했다. 이를 통해 위원들은 대형 스크린에 건물 높이나 위치 등을 시뮬레이션하며 일조권, 조망권, 바람길 등 환경적 영향을 실시간으로 검토할 수 있게 됐다. 현재 총 8개 주요 위원회에서 연간 300건 이상의 심의에 에스맵을 활용 중이어서 행정 결정의 정확성과 투명성을 높이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폭우 침수 시뮬레이션으로 재난 선제 대응

에스맵은 재난 대응 분야에서도 활용도를 넓혀가고 있다. 특히 3D 지형 정보, 맨홀 위치, 하수관로 데이터 등을 기반으로 여름철 집중호우 시 침수 가능 지역을 사전에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예컨대 시간당 90∼110㎜의 강우 조건을 입력하면 도림천, 강남역 등 취약 지역의 침수 위험을 예측할 수 있으며 이는 골든타임 확보 및 신속 대응에 큰 도움이 된다. 현재는 실험 단계로 향후 25개 자치구 전역으로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방범 취약 지역 예측… 자치경찰과 협업

에스맵’ 방범 취약 지도.
에스맵’ 방범 취약 지도.
서울시는 올해부터 에스맵을 활용한 ‘방범 취약 지도’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서울시 자치경찰위원회와 협업해 CC(폐쇄회로)TV 사각지대, 취약 시간대 등을 분석하고 범죄 예방 인프라 구축, 순찰 경로 최적화 등에 적용할 계획이다.

또한 반려견 순찰대, 러닝 순찰대, 대학생 순찰대 등 민관 순찰 활동에 에스맵 데이터를 활용해 최적의 경로를 자동 생성, 공유하는 기능도 도입된다.

특히 기존에는 수개월에 걸친 현장 조사를 통해 CCTV 설치 필요 지역을 파악했으나 앞으로는 3차원 분석으로 현장 조사 대상을 획기적으로 줄여 행정 효율성도 높일 수 있게 된다.

시민 아이디어 발굴해 정책에 반영

에스맵이 주목받는 이유 중 하나는 시민 아이디어로 행정을 바꾸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서울시는 2022년부터 ‘디지털 공간정보 활용 공모전’을 통해 시민의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있다. 2022년 수상작인 반지하 주택 침수 위험 지도는 실제 정책에 반영됐고 2023년 어두운 골목길 안전 지도, 2024년 겨울철 미끄러운 길을 표시한 ‘꽈당지도’ 역시 행정에 도입될 예정이다.

에스맵은 기술과 데이터, 시민의 아이디어가 함께 만드는 서울의 디지털 미래 캔버스로 변화하는 도시를 미리 실험하고 준비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다.

#공기업감동경영#공기업#서울시#에스맵
© dongA.com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