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서울 아파트 경매시장에서 매각가율(감정가 대비 낙찰 가격)이 3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지만 매각율은 40%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입지와 조건이 우수한 일부 매물에만 응찰자가 몰리면서 감정가보다 비싸게 팔리지만 10채 중 6채는 유찰되는 등 매물 간 온도 차가 뚜렷한 것이다.
9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경매 평균 매각가율은 96.5%로 집계됐다. 이는 2022년 6월(103.0%) 이후 3년 만에 최고 수준이다. 마포구(113.7%), 성동구(108.5%), 중구(108.4%)와 영등포구(107.2%) 등에선 감정가보다 비싸게 낙찰되는 사례가 잇따르면서 매각가율이 100%를 넘었다. 금리 인하 등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돼 경쟁력 있는 매물에 대한 수요가 이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반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매각률은 40%에 그쳤다. 전체 경매 물건 중 10건 중 6건은 유찰됐다는 뜻이다. 매각가율이 가장 높았던 마포구의 매각률은 14.8%에 불과했다. 용산구(14.3%)와 송파구(16.7%) 매각률도 낮았다. 직방 관계자는 “경매 낙찰가격이 빠르게 회복되고 있지만 수요자들은 여전히 입지와 가격 요건이 맞는 일부 매물에만 응찰하고 있는 분위기다”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