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공예주간’ 전국 17만명 참여
고성-부안-전주 거점, 체험-전시
두바이-英-佛-獨에 적극 홍보
도자기-한지 등 공예의 멋 알려
“직접 한지 부채를 만들어 보니 장인들의 손길이 얼마나 정교한지 새삼 느꼈어요.”
‘2025 공예주간’이 열린 전북 전주 한옥마을을 찾은 관람객 김상은 씨(34)는 감탄을 감추지 못했다. 행사장을 찾은 가족 단위 방문객들도 “아이와 함께 공예를 배우며 특별한 추억을 쌓았다”며 밝은 표정을 지었다. 5월의 전주 한옥마을은 공예와 사람, 그리고 이야기가 어우러진 살아있는 축제의 장이었다.
지난달 16∼25일 열린 국내 최대 공예 축제인 ‘2025 공예주간’은 전국에서 17만 명의 참관객이 몰리는 등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서울 남산골한옥마을 공예 체험 프로그램.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제공
국내 최대 공예 축제인 ‘2025 공예주간(Korea Craft Week)’이 5월 16∼25일 열흘간의 여정을 마치고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8회를 맞은 ‘공예주간’은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인촌)가 주최하고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이하 공진원·원장 장동광)이 주관하고 있다. 올해 행사 주제는 ‘공생공락(共生工樂)’. 서울부터 제주까지 전국의 공방과 갤러리, 문화예술단체 등이 총 135개의 프로그램을 진행한 결과 약 17만 명의 참관객이 참여했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공예주간 거점도시 3곳인 강원 고성, 전북 부안, 전주를 중심으로 다양한 지역주민이 중심이 되는 축제를 만들었다. 청정 자연환경의 도시 고성은 달홀문화센터를 중심으로 해양 생태와 공예를 연결한 친환경 전시 ‘당신과 함께 그린 고성’과 지역의 관광자원을 활용한 체험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지난달 16∼25일 열린 국내 최대 공예 축제인 ‘2025 공예주간’은 전국에서 17만 명의 참관객이 몰리는 등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전북 부안에서 열린 ‘부안상감 클래스’.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제공상감청자의 중심지 부안은 지역의 공예문화유산인 상감청자를 활용해 부안만의 특색 있는 프로그램을 선보였다. 사기장과 함께 기물 성형에서부터 상감 기법까지 경험해 볼 수 있는 ‘상감 클래스’를 운영했다. 특히 부안의 유명 베이커리 카페와 협업해 청자 공예품을 전시하고 특별 메뉴를 개발해 판매한 ‘부안 미술(美術)랭’, ‘사금파리 발굴체험’은 어린이, 가족들의 참여와 호응이 높았다.
전통문화의 도시 전주는 지역의 대표 명소인 한옥마을을 중심으로 전시, 체험, 마켓, 투어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전개했다. 전주공예품 전시관 마당에서의 개막 공연을 시작으로 전주 대표 공예인 한지와 지우산을 주제로 한 공예특별전 ‘공예유람스팟’을 비롯해, 전주의 장인 공방을 방문하고 직접 소통할 수 있는 공방투어도 운영했다.
공진원은 3개 거점도시 외에도 2월 공모에서 최종 선정된 21개 프로그램을 전국 곳곳에서 진행했다. 특히 서해 5도 주민들을 위해 찾아가는 공예 체험 프로그램 ‘피스 아일랜드 크래프트 페스타’를 운영해 공예문화 향유의 사각지대에 있는 지역주민을 대상으로도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올해 공예주간의 또 다른 특징은 마켓프로그램의 활성화. 제주 서귀포시 카페베케에서 진행된 ‘일상이 공예-파치마켓‘(귤림공방)을 비롯해 19개 마켓 프로그램이 전국 각지에서 펼쳐져 지역의 다양한 작가들의 작품이 소개, 판매됐다.
공진원은 올해 4월 아랍에미리트 두바이 페스티벌시티몰에 문을 연 ‘KOREA 360’ 내 한국 공예 홍보관에서는 12인의 작가가 출품한 도자기, 나전칠기, 유리컵, 한지부채, 오브제 등 35종의 공예품을 선보였고, 중동지역 소비자를 위한 공진원의 온라인 유통 대행사이트(Pinkoi, NOTAG SHOP)에서도 44종의 공예품을 선보이는 등 한국 공예의 지속적인 국내외 홍보를 위한 다양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또한 한국 공예 해외유통망 개척을 위해 13개 갤러리와 사업체를 선정해 영국, 프랑스, 독일에서 열리는 컬렉트, 메종오브제, 런던크래프트위크 등에 참가해 한국 공예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확대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공예트렌드페어’를 개최해 생산자와 소비자의 교류과 국내외 판로 확장을 도모하고 있다. 올해 20주년을 맞은 공예트렌드페어의 참여 작가와 참가사는 7월 10일까지 공모를 진행 중이다.
장동광 공진원장은 “올해 공예주간은 공생공락(共生工樂)이라는 주제 아래 공예가 사람과 사람, 지역과 일상을 잇는 소통의 매개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했다”며 “앞으로도 더 많은 국민이 일상 속에서 공예를 편하게 접하고 즐길 수 있도록 공예문화 활성화에 지속적으로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