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붙은 서울 집값…부동산 ‘추가 규제’ 시계 빨라진다

  • 뉴스1
  • 입력 2025년 6월 12일 18시 17분


코멘트

서울아파트값 상승폭 5주 연속 확대…마포·성동구도 집값 급등
조정대상지역 등 추가 지정 검토…정부 “정책 수단 총동원”

서울 부동산 시장 과열 조짐이 뚜렷해지고 있다. 매맷값 상승 폭이 5주 연속 확대된 가운데, 강남·서초·송파·용산구 등 기존 토지거래허가구역뿐만 아니라 마포·성동구에서도 집값이 빠르게 오르고 있다. 이에 정부의 추가 규제 움직임이 가속화되고 있다.

서울 전역 ‘불장’…주요 지역 신고가 행진
서울의 한 공인중개사에 아파트 매매 및 전월세 매물 시세가 게시돼 있다. 뉴스1
서울의 한 공인중개사에 아파트 매매 및 전월세 매물 시세가 게시돼 있다. 뉴스1

12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9일 기준 서울 아파트 매맷값은 전주 대비 0.26% 올랐다. 상승 폭은 전주(0.19%)보다 확대됐다.

집값 상승세는 서울 전역으로 확산되고 있다. 실제 강남구(0.51%)·서초구(0.45%)·송파구(0.71%) 등 강남3구는 물론 용산구(0.43%)·마포구(0.45%)·성동구(0.47%) 등 주요 지역 모두 신고가 행진이 이어지고 있다.

거래량도 크게 늘었다. 5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6635건으로 4월(5404건) 대비 23% 증가했다. 강남(109건→200건)·서초(52건→116건)·송파(130건→216건)·용산(36건→65건) 등 핵심 지역 모두 두 배 가까이 거래가 늘었다.

이는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3단계 시행을 앞두고 막차 수요가 몰린 영향이 크다는 분석이다.

서울 송파구 서울스카이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모습. 뉴스1
서울 송파구 서울스카이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모습. 뉴스1


‘똘똘한 한 채’ 쏠림…정부 “시장 안정에 총력”

서울 집값 급등은 만성적인 주택 공급 부족,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 대출 규제 강화 전 막바지 매수세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해석된다.

특히 대단지·재건축·대형 평형 아파트에 대한 선호가 높아지면서 자금력이 풍부한 실수요자들이 ‘똘똘한 한 채’를 찾아 강남3구와 용산 등 핵심 지역에 집중적으로 진입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에도 시장이 이미 적응해 규제 효과가 약화됐다고 평가했다.

이를 반영하듯 곳곳에서 실거래가가 경신되고 있다. 서울 강남구 압구정동 신현대 전용면적 183㎡(61평형)는 이달 초 101억 원에 거래돼 역대 최고가를 기록했다.

서초구 반포동 아크로리버파크 84㎡(34평형)는 지난달 56억 5000만 원에 팔리며 3개월 만에 10억 원 가까이 올랐고, 송파구 잠실동 잠실주공 5단지 전용 82㎡(36평형)는 최근 40억 원을 돌파했다.

정부는 실수요자 보호를 최우선 과제로 삼고, 투기·시장교란 행위와 심리 불안에 따른 가수요가 시장 안정을 저해하지 않도록 모든 정책수단을 총동원해 대응하겠다는 방침이다.

현재 조정대상지역, 투기과열지구, 토지거래허가구역 추가 지정, 대출 규제 강화 등 다양한 추가 규제 카드가 검토되고 있다.

이형일 기획재정부 장관 직무대행은 이날 부동산 시장 점검 태스크포스(TF) 회의에서 “가장 중요한 물가와 부동산 문제를 먼저 점검하겠다”며 “국민 주거 안정을 위해 실수요자 보호와 시장 안정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세종=뉴스1)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댓글 0

오늘의 추천영상

지금 뜨는 뉴스